#01_리눅스 설치 개요

(1) 리눅스 설치 파일은 해당 배포본의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 가능

(2) 리눅스는 단 하나의 제품 또는 한 종류의 제품군만 있는 것이 아님

(3) 특수한 목적으로 개발된 임베디드 디바이스에 적용된 리눅스부터 일반 사용자를 위해 만들어진 PC 또는 노트북과 같은 하드웨어에 사용할 수 있는 리눅스까지, 많은 종류의 리눅스 운영체제 존재

(4) 리눅스 배포판마다 설치 환경과 과정이 상이

(5) 리눅스 설치 유형은 배포판마다 다르지만 패키지에 따라 데스크톱형, 서버형, 사용자 정의형으로 구분

Minimal  리눅스 설치 시 필수 패키지만 설치
데스크톱 ㆍ개인용 컴퓨터에 적합한 패키지 설치
ㆍ하드디스크의 모든 리눅스 파티션을 삭제하고 데스크톱 운영에 적합한 환경으로 설치 진행
ㆍ문서 작성, 멀티미디어, 그래픽 도구 관련 프로그램들의 설치
  - Minimal Desktop은 개인용 컴퓨터로 사용하기 위해 최소 프로그램만 설치되며 문서 작성과 같은 프로
    그램은 설치되지 않음
서버  하드디스크의 모든 파티션을 삭제하고 서버 운영에 적합한 패키지 설치
  - Basic 서버 : 리눅스 서버의 필수 기본 패키지 설치
  - Database 서버 : 데이터베이스 서버 관련 패키지 설치
  - Web 서버 : 아파치 웹 서버 관련 패키지 설치
랩탑  노트북 등 랩탑 시스템에 적합한 패키지 설치
가상 호스트 ㆍ가상화 시스템 운영을 위한 패키지 설치
ㆍ하이퍼바이저 KVM이나 Xen을 설치
Software
Development
Workstation
ㆍ소프트웨어 설치 시 필요한 다양한 도구(tool)들이 포함된 패키지 설치
ㆍ소스 컴파일 도구를 기본적으로 포함하기 위해 선택
사용자 설정 시스템  사용자 취향에 맞는 소프트웨어 선택 후 설치

 - 사용자 설정 시스템을 제외한 다른 설치 유형을 선택하게 되면 인스톨에서 하드디스크를 자동으로 재구성하므로 기존 데이터 모두 제거

(6) 설치 전에 시스템에 있는 모든 파일은 반드시 백업

 - 디스크를 파티션하면 파티션 프로그램으로 어떤 프로그램을 사용하든 간에 그 디스크에 있는 모든 파일 지워짐

(7) 멀티 부팅 시스템을 만든다면, 현재 운영체제의 배포 미디어를 가지고 있어야 함

(8) 부팅 드라이브를 다시 파티션하는 경우라면, 운영체제의 부트로더를 다시 설치해야 할수도 있고, 더 많은 경우에 운영체제 전체를 해당 파티션에 다시 설치해야 함

 

#02_리눅스 설치를 위한 하드웨어 정보 파악

 

(1) 하드웨어 정보

 - 최근 리눅스 배포판들은 하드웨어 호환성이 우수

 - 설치 마법사의 Plug and Play(PNP) 기능으로 자동으로 하드웨어 검색

 - 설치 전에 하드웨어에 대한 정보를 알아두는 것이 설치 작업에 용이

 - 하드웨어 정보 파악은 하드웨어 문제가 발생했을 때 장애처리의 실마리가 될 수 있음

 - 설치를 위한 하드웨어 정보를 파악하여야 함

하드웨어 정보
CPU ㆍ제조사와 모델명 확인
ㆍ32비트 CPU 또는 64비트 CPU 파악
ㆍ가상화 환경에서는 CPU의 물리적 개수와 코어(core) 개수 확인

메모리(RAM) ㆍ메모리 용량 확인
ㆍSWAP 파티션 설정 시 사용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하드디스크의 파일명 확인
  - IDE 또는 ATA 하드디스크 타입 파일명 : /dev/hdX
  - S-ATA, USB, SSD, SCSI 하드디스크 타입 파일명 : /dev/sdX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ㆍ제조사, 모델명, 유무선 여부, 어댑터 종류
ㆍTCP/IP 속성 정보 확인
모니터  제조사, 모델명, 지원하는 모델 해상도와 색상
프린터  모델 및 제조사, 지원하는 인쇄 해상도
키보드  운영 타입(PS/2, USB 방식) 확인
마우스  종류(시리얼, PS/2, USB), 포트, 제조사
비디오카드  제조사, 모델명, 비디오램 크기, 지원하는 해상도와 색상 수

 - 필요한 시스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은 아래와 같음

  ㆍ시스템 구매 시 받은 제품 설명서

  ㆍBIOS 설정 화면 : 시스템에 전원을 넣고 [F2] 또는 [Delete]를 누르면 BIOS 설정 화면 표시

  ㆍ장치 관리자 : 윈도우 시스템이 설치되어 있다면 [제어판] → [시스템 및 보안] → [장치 관리자] 선택 실행

  ㆍ시스템 정보 수집 프로그램 사용

 - 시스템이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라면 네트워크 정보를 정확히 기록

 - 시스템의 이름 정보(호스트 이름, 도메인 이름)와 TCP/IP 주소 정보(IP 주소, 넷마스크, 게이트웨이 주소, DNS 주소) 필요

 - 윈도우에서는 [제어판] → [네트워크 및 인터넷] → [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 를 선택하고 필요한 정보 수집

 

(2) 하드웨어 호환성

 - 리눅스는 많은 하드웨어 제품들에서 문제없이 작동하지만 다른 운영체제들(ex.Windows)만큼 다양한 종류를 하드웨어에서 동작하지 못함

 - 하드웨어 호환성은 다음의 방법으로 확인 가능

  ㆍ제조사의 웹 사이트에서 새 드라이버 확인

  ㆍ웹 사이트와 맨얼에서 에뮬레이션에 대한 정보 찾기(덜 알려진 상표의 제품이 더 많이 알려진 제품의 드라이버와 설정들을 그대로 사용)

  ㆍ해당 아키텍처에 관한 웹사이트에서 리눅스 하드웨어 호환성 목록 확인

 

(3) 네트워크 설정

 - 시스템 관리자는 네트워크 설정에 대한 정보를 알고 있어야 함

  ㆍ호스트명과 도메인

  ㆍ컴퓨터의 IP 주소, 서브넷 마스크

  ㆍ게이트웨이 주소

  ㆍDNS 서버 주소

 - 무선 네트워크를 사용한다면 무선 네트워크 SSID와 보안키를 사용할 경우 WEP 키 확인

 

#03_리눅스 설치

(1) CentOS 리눅스 주요 버전은 다음과 같음

버전 프로세서 아키텍처 커널 발표일
2.1  i386  2.4.9  2004년 5월 14일
3.1  i386, ia64, s390, s390x, x86_64  2.4.21  2004년 3월 20일
4.0  i386, ia64, ppc, s390, s390x, x86_64  2.6.9  2005년 3월 20일
5.0  i386, x86_64  2.6.18  2007년 4월 12일
6.0  i386, x86_64  2.6.32  2011년 7월 10일
7.0  x86_64  3.10.0  2014년 7월 7일

(2) CentOS 7부터 커널 3.X 이상을 사용

(3) 커널(Kernel)

 - 운영체제의 핵심 부분으로 CPU나 메모리, 기타 디바이스 등의 시스템 자원을 관리하고 사용자 프로그램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함

 - 커널 버전은 검증이 완료된 안전 버전과 개발 중인 개발 버전으로 분류

 - 커널명은 '주버전.부버전,배치버전'으로 구성

커널명    3.  10.  17.  1
                                                                                                  ⓐ  ⓑ   ⓒ  ⓓ
상태 설명
ⓐ 3  주버전  커널의 기능상 획기적이거나 커다란 변화가 있을 때에만 증가
ⓑ 10  부버전  기능의 업그레이드 및 추가 등의 비교적 작은 변화가 있을 경우 증가
ⓒ 17  패치 레벨  커널의 해당 버전에 대한 수정이 있을 경우 증가
ⓓ 1  안전 버전 일련번호  안전 버전에서만 사용

 - 부버전이 짝숭면 안정 커널이고, 홀수이면 개발 커널임

(4) 다음은 CentOS 7을 설치하기 위한 최소 하드웨어 요구사항임

하드웨어 요구사항
CPU  1GHZ 프로세서
메모리  최소한 1024MB 메모리 필요
하드디스크 여유공간  10GB 이상의 여유 공간 권장

 

'자격증 > 리눅스마스터 2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3. 리눅스 라이선스  (0) 2022.11.15
2. 리눅스의 역사  (0) 2022.11.07
1. 리눅스의 개요  (0) 2022.11.07

#01_GNU(GNU's Not UNIX)

(1) 리처드 스톨만이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에서 진행하며 유지중인 운영체제 프로젝트

(2) 리처드 스톨만이 1983년에 GNU 개발 시작

 - GNU는 'GNU(그누)는 유닉스가 아니다(GNU's Not UNIX).'의 약자

(3) GNU 프로젝트를 통하여 개발하 유닉스 계열 컴퓨터 운영체제로 '완전한 유닉스 호환 소프트웨어 시스템'이 되는 것이 목표

 

#02_자유 소프트웨어 재단(FSF, Free Software Foundation)

(1) 1985년 리처드 스톨만이 설립한 재단

(2) 자유 소프트웨어는 사용자가 소프트웨어를 실행, 복제, 배포, 학습, 개작, 향상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3) 자유 소프트웨어의 특징은 다음과 같음

 - 어떤 목적이든 원하는대로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는 자유

 - 무료 또는 유료로 프로그램 복제물을 재배포할 수 있는 자유

 - 필요에 따라 프로그램을 개작할 수 있는 자유

 - 공동체 전체가 개선된 이익을 나눌 수 있게 개작한 프로그램을 배포할 수 있는 자유

(4) 자유는 금전적인 측면과 관계가 없기 때문에 자유 소프트웨어를 유료로 판매할 때 문제가 생기지는 않음

 

#03_오픈 소스 소프트웨어(Open Source Software)

(1) 1998년 일부 커뮤니티에서 '자유 소프트웨어' 대신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 시작

(2) 이것은 자유가 가진 무료라는 의미가 일으키는 혼동을 피하기 위함

 

#04_GNU GPL(General Public License)

(1) GPL은 Free Software Foundation(FSF)에서 만든 Free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2) 1989년 1차 버전, 1991년 2차 버전, 2007년 3차 버전까지 발표

(3) 기본적으로 어떤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GPL 코드를 일부라도 사용하게 되면 해당 프로그램은 GPL이 됨. GPL을 가진 프로그램을 유료로 판매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반드시 전체 소스코드는 무료로 공개

(4) GPL 코드를 사용한 소프트웨어를 내부적인(개인, 기관, 단체 등) 목적으로만 사용할 땐 소스코드를 공개할 필요가 없지만 어떤 형태(유료, 무료)로든 외부에 공표 및 배포할 때는 전체 소스코드를 공개

(5) GPL 전문 : 만일 배포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의 특정 부분이 GPL 코드로부터 파생된 것이 아닌 독립적인 저작물일 경우에는 독립 저작물 모듈의 개별적인 배포에는 GPL이 적용되지 않음(즉, 코드를 공개할 필요 없음). 하지만 프로그램을 전체(GPL 코드에서 파생된 모듈 + 독립 저작물 모듈)적으로 배포할 때에는 GPL을 따라야 함

 

#05_GNU LGPL(Lesser General Public License)

(1) LGPL은 GPL보다 훨씬 완화된 조건의 공개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2) LGPL이 적용된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개발하였을 경우 프로그램 소스코드는 공개하지 않아도 됨

(3) LGPL 코드를 사용했음만 명시하면 됨

(4) LGPL 코드를 단순히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이를 수정한 또는 이로부터 파생된 라이브러리를 개발하여 배포하는 경우에는 전체 코드 공개

 

#06_BSD(Berkeley Software Distribution) 라이선스

(1) 버클리 캘리포니아 대학의 자유 소프트웨어 저작권의 한가지

(2) BSD 계열의 소프트웨어를 포함한 많은 프로그램에서 사용

(3) 소스코드 공개 의무가 없으며 상용 소프트웨어에서도 무제한 사용 가능한 라이선스

 - 해당 소프트웨어는 아무나 개작할 수 있고, 수정한 것을 제한 없이 배포할 수 있음

 - 수정본의 재배포는 의무적인 사항이 아니므로 상용 소프트웨어에서도 사용 가능

 - GPL은 파생된 소프트웨어여도 GPL과 같은 라이선스를 갖도록 의무화하고 있다는 것에 BSD와 차이를 둠

(4) OpenCV는 BSD 라이선스를 따름

 

#07_아파치(Apache) 라이선스

(1) 아파치 소프트웨어 재단에서 자체적으로 만든 소프트웨어에 대한 라이선스 규정

(2) 아파치 2.0 라이선스는 누구나 해당 소프트웨어에서 파생된 프로그램을 제작할 수 있으며 저작권을 양도, 전송할 수 있는 라이선스 규정

 - 누구든 자유롭게 아파치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 받아 부분 또는 전체를 개인적 혹은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 가능

 - 재배포 시 원본 소스코드 또는 수정한 소스코드를 반드시 포함시켜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아파치 라이선스 버전 2.0을 포함시켜야 하며, 아파치 소프트웨어 재단에서 개발된 소프트웨어라는 것을 명확하게 밝혀야 함

 

#08_MIT(Massachusetts Instiute of Technology) 라이선스

(1) 미국 매사추세츠 공과 대학교에서 본교의 소프트웨어 공학도들을 돕기 위해 개발한 허가서

(2) BSD 라이선스를 기초로 작성된 BSD 계열 라이선스 중 하나

(3) 해당 소프트웨어는 누구나 개작할 수 있고, 수정본의 재배포 시에 소스코드 비공개가 가능

(4) 이 라이선스가 적용된 소프트웨어는 X Window System, JQuery, Node.js 등이 존재

(5) 소프트웨어를 개조한 제품을 반드시 오픈소스로 배포해야 한다는 규정이 없으며, GNU 일반 공중 허가서의 엄격함을 피하려는 사용자들에게 인기

 - GNU 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GPL) 등과 달리 카피 레프트는 아니며, 오픈소스 여부에 관계 없이 재사용 인정

(6) MIT 허가서를 따르는 대표적 소프트웨어로 X 윈도우 시스템(X11) 존재

 

#09_MPL(Mozila Public License)

(1) 오픈소스와 자유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2) 1.0판은 넷스케이프 커뮤니케이션즈 코퍼레이션의 변호사로 일하고 있던 미첼 베이커에 의해 작성되었고, 1.1판은 모질라 재단이 작성

(3) MPL은 변형 BSD 사용 라이선스와 GNU 일반 공중 사용 라이선스의 혼합적 성격

(4) 모질라 어플리케이션 스위트, 모질라 파이어폭스, 모질라 선더버드 및 그 외의 모질라 소프트웨어들에 적용

(5) MPL의 특징은 소스코드와 실행파일의 저작권을 분리했다는 점

(6) 수정한 2차 소스코드는 MPL로 공개하고 원저작자에게 수정한 부분에 대해 알려야 하지만, 실행 파일은 독점 라이선스로 배포

(7) 사용한 MPL 소프트웨어와 수정한 MPL 소프트웨어에 대한 공개 의무만 가지며, 별도의 소스코드와 실행파일은 독점 라이선스를 가질 수 있음

 

'자격증 > 리눅스마스터 2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4. 리눅스 기본 설치 및 유형  (0) 2022.11.24
2. 리눅스의 역사  (0) 2022.11.07
1. 리눅스의 개요  (0) 2022.11.07

#01_1960년대 후반

(1) 1965년 MIT, AT&T 벨 연구소, General Electric에서는 Multics라는 실험적인 운영체제를 공동으로 개발하는 프로젝트 진행

(2) 이 프로젝트 팀은 멀티태스킹, 멀티유저를 지원하는 초기 형태의 시분할 운영체제 제작

(3) 1969년 프로젝트에 참여했던 벨 연구소 연구원 켄 톰슨(Ken Thompson)이 초기 형태의 UNIX 개발 

 

#02_1970년대

(1) 1971년 벨 연구소의 데니스 리치(Dennis Ritchie)가 C언어를 개발함으로써, 어셈블리 언어로 되어 있던 UNIX가 C언어로 재작성 됨

(2) C언어로 개발된 UNIX는 이식성과 호환성 있는 시스템으로 발전

 - 소스 프로그램이 공개되어 있었던 UNIX는 Berkeley UNIX(BSD)와 SYSV로 분열되어 발전

 

#03_1980년대 초중반

(1) MIT 연구소의 연구원이었던 리처드 스톨먼(Richard Stollman)은 소스를 공개하지 못하도록 하는 분위기와 기술을 상업화하려는 조류에 대한 반감으로 GNU(GNU is Not Unix) 프로젝트를 시작

(2) 1985년 리처드 스톨먼은 FSF(Free Software Foundation,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라는 비영리단체를 설립 후 'GNU 선언문(Manifesto)'을 발표

 - 개발이 진행된 프로그램들은 GNU 프로그램들의 배포 라이선스인 GPL하에서 판매

(3) 1987년 앤드루 타넨바움(Andrew Tanenbaum)은 미닉스(MINIX)를 개발

 - 미닉스는 자유/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로 교육용 유닉스 계열 운영체제

 

#04_1990년대 초중반

(1) 핀란드의 헬싱키 대학의 리누스 토발즈(Linux Torvalds)가 Minix의 커널 소스를 고쳐 GNU 시스템에 적합한 커널 개발

(2) 스톨먼과 FSF는 유닉스 커널과 호환 가능한 커널인 리눅스를 GNU 시스템의 커널로 채택

(3) 1994년에 리눅스 커널 버전 1.0 발표

(4) 1996년에 리눅스 커널 버전 2.0 발표

'자격증 > 리눅스마스터 2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4. 리눅스 기본 설치 및 유형  (0) 2022.11.24
3. 리눅스 라이선스  (0) 2022.11.15
1. 리눅스의 개요  (0) 2022.11.07

#1_리눅스 특징 및 장단점

 

(1) 리눅스의 특징

 - 오픈 소스 운영체제

  ㆍ소스코드 및 모든 관련 자료가 공개되어 있는 운영체제

 - 멀티유저(다중 사용자), 멀티태스킹(다중 작업) 운영체제

  ㆍ멀티유저 기능이란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동일한 시스템에 접근이 가능한 것을 의미

  ㆍ멀티태스킹은 여러 개의 테스크를 동시에 실행하고, 교대로 컴퓨터의 자원을 사용할 수 있는 기능

  ㆍ가상 터미널 환경으로 하나의 모티러에 여러 개의 가상 화면을 두어 화면마다 다른 작업 실행 가능

 - 다중 스레드를 지원하는 네트워크 운영체제

  ㆍ하나의 프로세스 내에서 여러 개의 네트워크 작업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강력한 네트워크 지원 가능

  ㆍ네트워크 서버로 사용이 가능하며 인터넷과 이더넷에 안정적으로 연결 가능

  ㆍ웹 브라우저, 메일, 뉴스, 웹 서버 등의 모든 인터넷 서비스 기능을 갖춤

 - 여러 종류의 파일 시스템 지원

  ㆍ리눅스의 기본 파일 시스템인 ext2, ext3, ext4, DOS의 FAT16, Windows의 FAT32, NTFS,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 SMB, CIFS, NFS 등 지원

 

 (2) 리눅스의 장점

 - 리눅스는 유닉스와 완벽하게 호환 가능

  ㆍ리눅스는 POSIX(Portavle Operating System Interface) 규격을 따름

  ㆍPOSIX는 유닉스 운영체제에기반을 두고 있는 표준 운영체제 인터페이스를 말함

  ㆍ리눅스는 POSIX 표준화를 기반하기 때문에 유닉스 소스코드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개발됨

  ㆍPOSIX 규격을 따르기 때문에 유닉스용 프로그램은 별도의 수정 없이 리눅스에서 동작할 수 있음

 - 리눅스는 PC용 운영체제보다 안정적

  ㆍ일반 PC는 업무가 끝나면 전원을 끄지만 리눅스는 네트워크 사용을 전제로 설계되었기 때문에 특별한 사항을 제외하고 항상 켜 놓아도 안정적으로 운영

  ㆍ리눅스는 네트워크 기반 하의 멀티유저, 멀티태스킹이 가능하여 많은 작업자가 동시에 사용해도 안정적인 시스템 운영 가능

 - 하드웨어 기능을 효과적으로 사용

  ㆍ다른 운영체제보다 적은 양의 메모리를 필요로 함

  ㆍSWAP 방식을 통해 램(RAM)이 부족한 경우 Swap 영역을 늘려 메모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음

 - 리눅스는 오픈 소스 운영체제임

  ㆍ많은 인재가 확보되어 있기 때문에 우수한 소프트웨어 개발이 가능하고 여러 배포판 개발 업체들이 있어 사용자에게 넓은 선택권이 주어짐

  ㆍ다양한 배포판이 존재하여 운영체제뿐만 아니라 여러가지 유틸리티 프로그램 및 응용 프로그램을 무료로 제공

 

(3) 리눅스의 단점

 - 공개 운영체제이기 때문에 문제점 발생 시 기술 지원의 한계

  ㆍRHEL과 SUSE과 같은 몇몇 엔터프라이즈용 리눅스 들은 기술 지원이 유료로 제공되고 있으나 대부분은 예상치 못한 오류 발생 시 개발자들의 기술 지원을 직접적으로 받는 것이 불가능

 - 한글 지원 미흡

  ㆍ배포판마다 별도의 한글 지원 패키지를 설치한 후 사용해야 한다는 불편함 존재

 - 보안상의 취약점이 쉽게 노출될 가능성 존재

  ㆍ공개 운영체제이기 때문에 보안에 취약할 것이라는 선입관이 있으나 꾸준한 기술 개발로 비교적 높은 보안성 지원

  ㆍ많은 프로그래머들이 리눅스를 연구하고 있기 때문에, 보안 문제가 발생하였을 경우 신속하게 해결 가능

 

#2_리눅스 디렉터리 종류와 특징

 

(1) 디렉터리란 파일 저장소를 의미하며, 리눅스 디렉터리는 최상위 디렉터리(/)를 기준으로 하위 디렉터리들이 존재하는 계층적 트리 구조로 구성

 

(2) 디렉터리 간에는 부모와 자식의 관계를 가지므로 상위 디렉터리와 하위 디렉터리는 부모 디렉터리와 자식 디렉터리로 구분

 

(3) 디렉터리별 저장 내용은 아래 표와 같음

디렉터리 저장 내용
/ ㆍ파일 시스템이 있는 최상위 디렉터리
ㆍ모든 디렉터리의 출발점인 동시에 다른 시스템과의 연결점이 되는 디렉터리
/boot  부트 디렉터리로 부팅 시 커널 이미지와 부팅 정보 파일 저장
/proc ㆍ시스템 정보 디렉터리이며 커널 기능을 제어하는 역할
ㆍ현재 실행되는 프로세스와 실제로 사용되는 장치, 하드웨어 정보 저장
/lib ㆍ공유 라이브러리 디렉터리
ㆍ커널 모듈 파일들과 프로글매 실행을 지원해주는 라이브러리 저장
/bin ㆍ기본적인 명령어가 저장된 디렉터리
ㆍroot 사용자와 일반 사용자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명령어 디렉터리
/dev ㆍ시스템 디바이스 파일들을 저장하는 디렉터리
ㆍ하드디스크 장치 파일, CD-ROM 장치파일 같은 파일 저장
/etc  시스템 환경 설정 파일 저장 디렉터리
/root  시스템 관리자용 홈 디렉터리
/sbin  관리자용 시스템 표준 명령 및 시스템 관리와 관련된 실행 명령어 저장
/usr  사용자 디렉터리로 사용자 데이터나 애플리케이션 저장
/home ㆍ사용자 계정 디렉터리로 계정들의 홈 디렉터리가 위치
ㆍ일반 사용자들이 로그인 시 처음으로 위치하게 되는 디렉터리
/var  가변 자료 저장 디렉터리로 로그 파일이나 메일 데이터 저장
/tmp ㆍ각종 프로그램이나 프로세스 작업을 할 때 임시로 생성되는 파일 저장
ㆍ모든 사용자에 대해서 읽기와 쓰기가 허용
ㆍ스티키 비트(sticky bit) 설정으로 파일의 소유자만이 자신의 소유 파일 삭제 가능
/mnt  파일 시스템을 일시적으로 마운트할 때 사용
/lost+found  결함이 있는 파일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디렉터리

 

 - 디렉터리 /proc

  ㆍ가상 파일 시스템

  ㆍ시스템에서 운영되고 있는 다양한 프로세스들에 관한 내용과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 포함

  ㆍ디렉터리에서 볼 수 있는 것은 실제 드라이브가 아니라 메모리 상에 저장

  ㆍ사용자가 /proc이나 하위 파일에 접근할 때마다 커널에서 파일 내용을 동적으로 생성

  ㆍ각 프로세스는 고유의 식별자를 가지고 있으며, 이 식별자를 가진 디렉터리 밑에 정보 저장

 - 디렉터리 /lib

  ㆍ동적 공유 라이브러리 저장

  ㆍ공유 라이브러리에는 많은 프로그램에서 공통으로 사용하는 함수들이 들어있어 디스크의 공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프로그램마다 동일한 코딩을 할 필요가 없음

  ㆍ라이브러리 공유 방법에는 정적 라이브러리와 동적 라이브러리 두 가지 방법 존재

  ㆍ정적 라이브러리는 컴파일 과정에서 공유 라이브러리의 루틴을 사용하지 않고 프로그램 내에 라이브러리 루틴의 복사본을 갖도록 컴파일

  ㆍ동적 라이브러리는 실행 파일 내부에 라이브러리를 넣어두지 않고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가져와 사용하므로 메모리의 효율성이 높음

 - 디렉터리 /dev

  ㆍ하드디스크, 프리넡, 입출력장치 등과 같은 장치들을 파일화하여 관리하므로 특정장치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해당 장치파일을 실행해야함

  ㆍ장치 파일(device file) 또는 특수 파일(special file)은 장치 드라이버임

  ㆍ블록 장치 파일(block device)은 하드디스크, CD/DVD, 플로피 디스크와 같은 저장 장치들이며, 문자 장치 파일(character device)은 키보드, 마우스, 테이프, 모니터, 프린터 드의 같은 입출력장치들임

  ㆍ리눅스의 표준 입력장치는 키보드이며, 표준 출력장치는 모니터

 - 디렉터리 /etc

  ㆍ시스템 환경설정 파일과 부팅 관련 스크립트 파일들이 저장되어 있는 디렉터리

  ㆍ사용자 정보 및 암호 정보 파일, 보안 파일 등을 저장

디렉터리 설명
/etc/group  그룹의 정보가 담겨 있는 파일
/etc/passwd  자원을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 목록 저장
/etc/shadow ㆍ/etc/passwd의 두 번째  필드인 패스워드 부분을 암호화 관리
ㆍ패스워드 만기일, 계정 만기일 등을 설정

 - 디렉터리 /usr

  ㆍ시스템이 아닌 일반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디렉터리

  ㆍ공유 가능한 프로그램들이 설치되며 네트워크를 이용해서 여러 개의 시스템을 연결할 경우 이 디렉터리를 공유해서 설치된 프로그램들을 활용할 수 있음

  ㆍ/usr 디렉터리는 읽기 전용으로 마운트 되어야 하며, 가변 자료들은 /var 디렉터리로 심볼릭 링크로 이동

 - 디렉터리 /var

  ㆍ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가변적인 파일들을 저장하는 디렉터리

  ㆍ가변적인 파일들로는 로그파일, 스풀링, 캐싱 등 존재

 - 디렉터리 /lost+found

  ㆍ파일 시스템의 이상 유무를 진단하고 복구하는 fsck에 의해서 사용되는 디렉터리

  ㆍ손상된 파일이나 디렉터리를 /lost+found 디렉터리로 연결한 뒤에 오류를 수정하게 되며 평상시에는 null 파일 링크에 의해서 비어있는 상태로 존재

  ㆍ리눅스 파일 시스템 ext2에 의한 fsxk, ext2 프로그램도 해당 디렉터리를 사용

 

#3_리눅스 배포판

 

(1) 특징

 - 리눅스 배포판은 리눅스 전체 시스템을 구성하는 소프트웨어 패키지 형태로 구성

 - 리눅스 커널, GNU 소프트웨어 및 여러가지 자유 소프트웨어로 구성된 운영체제

  ㆍ운영체제는 리눅스 커널과 GNU 프로젝트에서 가져온 라이브러리와 유틸리티, X 윈도우 시스템의 그래픽으로 구성되며, 워드 프로세서, 스트레드시트, 미디어 플레이어, 데이터베이스 등 여러 가지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도 포함

 - 전 세계에 300여가지 배포판이 있으며, 배포판을 구성하는 소프트웨어도 자유롭게 구성되어 있음

  ㆍ용량을 맞춰서 X 윈도우를 빼거나 용량이 작은 GNU 유틸리티를 선택하기도 함

 - 대표적인 배포판은 슬랙웨어, 데비안, 레드햇 등 존재

  ㆍ페도라(Fedora)는 레드햇, openSUSE는 노벨, 우분투(Ubuntu)는 캐노니컬 등의 기업이 관리하는 배포판

  ㆍ데비안(Debian)이나 젠투(Gentoo)는 리눅스 커뮤니티 기반 배포판

 

(2) 종류

 - 슬랙웨어 리눅스(Slackware Linux)

  ㆍ배포판 가운데 가장 먼저 대중화된 배포판으로 1992년 패드릭 볼커딩에 의해 출시

  ㆍ최근 패키지 관리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인기가 다소 떨어짐

  ㆍ구조가 간결하고 파악하기 쉽게 때문에 유닉스 학습에 리눅스를 사용하고 싶어 하는 사용자들에게 적합

 - 데비안(Debian)

  ㆍ1994년 이안머독(Ian Murdock)에 의해 비영리 조직으로 데비안 프로젝트 설립

  ㆍ데비안 프로젝트에서 만들어 배포하는 공개 운영체제로 GNU의 공식적인 후원을 받고 있는 유일한 배포판

  ㆍ리눅스 커널을 탑지한 대비안 GNU/리눅스, GNU 허드 커널을 탑재한 데비안 GUN/허드, FreeBSD 커널을 탑재한 데비안 GNU/KFreeBSD, NetBSD 커널을 탑재한 데비안 GNU/NetBSD 등으로 나뉘며 현재 이 가운데 정식판이 존재하는 것은 데비안 GNU/리눅스 뿐임

  ㆍ데비안은 패키지 설치 및 업그레이드 과정이 단순하며, 인스톨 후 패키지 매니저인 apt 등을 이용하면 소프트웨어의 설치가 업데이트에서 다른 패키지와의 의존성 확인, 보안관련 업데이트 자동으로 수행 가능

 - 우분투(Ubuntu)

  ㆍ데비안 GNU/리눅스(Debian GNU/Linux)에 기초한 운영체제

  ㆍ고유한 데스크탑 환경인 유니티를 사용하는 리눅스 배포판

  ㆍ영국에 기반을 둔 회사인 캐노니컬의 지원을 받음

  ㆍ여섯 달마다 새 버전이 하나씩 배포, GNOME의 새 버전이 나오는 시기와 유사

  ㆍ사용자 편의성에 초점

 - 레드햇

  ㆍ미국의 레드햇사가 개발하던 리눅스 배포판

  ㆍ현재는 레드햇사가 유료로 기술지원을 하는 기업용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리눅스(RHEL)와 페도라 프로젝트에서 개발하고 있는 페도라로 분류

  ㆍ레드햇은 기업용 유료 리눅스 배포판인 RHEL의 개발을 지원

 - RHEL(Red Hat Enterprise Linux)

  ㆍ레드햇이 개발하여 판매하고 있는 상용 리눅스 배포판

  ㆍ18~24개월에 한번씩 새로운 버전이 공개되며 라이선스는 별도로 판매하지 않음

  ㆍ서브 스크립션의 형태로 요금을 지불하는 방식으로 계약

  ㆍ기술 지원은 버전마다 출시 시점으로부터 7년동안 제공

  ㆍ계약기간 중에는 추가 비용 없이 업그레이드 및 다운그레이드를 자유롭게 실시할 수 있음

  ㆍ상업용 패키지는 구입해야 하지만 소스코드는 레드햇의 FTP 사이트를 통하여 공개

 - 페도라

  ㆍ리눅스 커널에 기반한 운영체제와 레드햇의 후원과 개발 공동체의 지원 아래 개발된 배포판

  ㆍ일반적인 목적을 가진 RPM 기반의 소프트웨어가 결합된 운영체제

  ㆍ6개월 간격으로 새로운 버전이 배포되며 지원기간은 각 버전마다 13개월

  ㆍ소프트웨어 개발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새 버전으로 계속 교체되어야 한다는 문제점 존재

 - CentOS

  ㆍ업스트림 소스인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리눅스와 완벽하게 호환되는 무료 기업용 컴퓨팅 운영체제

  ㆍ플랫폼을 제공할 목적으로 만들어진 리눅스 운영체제

  ㆍ자체 커뮤니티에 의하여 관리

  ㆍ기본적으로 포함되는 소프트웨어와 업데이트되는 소프트웨어를 아울러 이전 파일에 대한 상위판과 100%에 최대한 가까운 호환성을 유지하는 것이 원칙

  ㆍ레드햇의 기술 지원은 받지 않음

 - 수세(SUSE)

  ㆍ독일에서 출시된 배포판으로 유럽에서 인기

  ㆍ풍부한 기능과 안정성, 보안 기능 포함

  ㆍ정기적인 배포판이 존재한다기보다는, 언제든지 새로운 버전이 출시되면 업데이트가 가능한 롤링 릴리즈(rolling release) 방식 사용

  ㆍ오픈 수세, 수세 엔터프라이즈 리눅스로 분류

'자격증 > 리눅스마스터 2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4. 리눅스 기본 설치 및 유형  (0) 2022.11.24
3. 리눅스 라이선스  (0) 2022.11.15
2. 리눅스의 역사  (0) 2022.11.07

해설 :  중위식을 가로로 묶고 (A/B)*(C+D)+E 후위식은 피연산자 다음에 연산자가 나오는 표기식이므로 연산자를 오른쪼 쪽 괄호 밖으로 옮겨준다 AB/CD+*E+

 

해설 : DISTINCT는 중복된 튜플이 있으면 그 중하나만 검색하는 조건으로

(ㄱ) 중복을 제거한 DEPT 열의 값 = 컴퓨터정보과, 인터넷정보과, 사무자동화과로 3개

(ㄴ) DEPT열의 값을 모두 다 가져옴으로 120+160+80=360

(ㄷ) 중복된 튜플 중 하나의 값으로 컴퓨터정보과 DEPT 한개만 표현되므로 1

 

해설 : 데이터베이스 정의는 통합(Integraterd), 저장(Stored), 운영(Operationla), 공용(Shared) 이며, 여분(Redundancy)이 오답임

 

해설 : 위의 문장을 해석하면 '모든 삽입은 한쪽 끝, 뒤쪽에서 이루어지고, 모든 삭제는 다른 쪽 끝, 앞쪽에서 이루어집니다.' 라는 문장으로 선입선출(FIFO) 방식의 큐(queue)를 의미하므로 3번이다.

 

해설 : 릴레이션에 포함된 튜플은 모두 상이하며, 한 릴레이션에 포함된 튜플 사이에는 순서가 없고, 속성 사이에도 순서가 없다. 하지만 원자값이이여도 상관 없기 떄문에 정답은 2번이다.

 

해설 : DML은 데이터 조작어로 SELECT, INSERT, DELETE, UPDATE가 있다.

 

해설 : 뷰는 사용자에게 접근이 허용된 자료만을 제한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가상 테이블로 복잡도를 유도하지 않는다.

 

해설 : 1회전=45321 2회전=34521 3회전=23451 4회전=12345

 

해설 : 관계해석이란 관계 데이터베이스 관리에서 관계를 조작하기 위한 비절차적인 방법의 하나로 튜플 관계해석과 도메인 관게 해석이 있다. 2번의 보기는 관계대수에 관한 설명으로 오답이다.(관계해석은 비절차적)

 

해설 : 인터럽트 발생 시 서비스 루틴의 분기 주소를 결정하는 방법은 '벡터 인터럽트' 이므로 4번

 

해설 :

 

해석 : 부동소수점 표현의 수들 사이의 곱셈 알고리즘 과정에서는 가수의 위치를 조정하지 않는다.

곱셈 연산 알고리즘 : 0인지 여부 조시 - 가수를 더함 - 가수를 곱함 - 결과를 정규화함

 

해석 : 관계, 논리, 산술 3가지 연산자가 혼합되어 나왔을때 연산 순서는 '산술 → 관계 → 논리' 순서이다.

 

해설 : '기억장치 용량 = 2^(워드의 수) x 워드의 길이'로 8K x 8 = 2^3 x 2^10 x 8 = 2^13 x 8
워드의 수 = 어드레드 선 = 13
워드의 길이 = 입출력선 = 8

 

해설 : Indirect(간접)단계는 fetch(인출)단계에서 해석된 명령의 주소부가 간접주소 인 경우에 수행되는 단계이다. 만약 직접 주소인 경우 바로 Execute(실행)단계를 거친다. 그러므로 옳은 답은 2번이다.

 

해설 : 시간 공간적 특성 차이에는 버스 구성이 포함되지 않는다.(동작의 속도, 착오 발생률, 정보의 단위, 동작의 자율성)

 

해설 : 실린더는 서로 다른 면들에 있는 위치의 트랙들의 모임으로 자기디스크 장치의 구성요소가 아님

 

해설 : 상대(relative) 주소 = 명령어의 주소 + PC 로 4번은 인덱스 레지스터의 주소 지정 방식이다.

 

해설 : 폴링 방법이 소프트웨어 적인 방법은 맞지만, 하드웨어 방법(데이지체인)에 비하여 인터럽트 반응 속도가 느리다.

 

해설 : 제어 장치의 순차 카운터는 디코더에 의해 선택된 번호에 해당하는 타이밍 신호를 생성한다.

 

해설 : Load 명령어는 기억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CPU로 가져오는 명령으로 자료 전달 명령어다.

 

해설 : 인터럽트 발생 시에만 인터럽트 사이클로 가게 되며, interrupt 사이클 이후에는 다시 fetch로 가게 된다.

 

해설 : 1001을 그레이 코드로 XOR연산(두개가 같으면 0, 하나라도 다르면 1)하면 1101이다.

 

해설 : 표준 패턴 처리 종류는 변환(Conversation), 병합(Merge), 갱신(Update), 분배(Distribute), 추출(Extract), 대조(Matching), 조합(Collate), 생성(Generate) 이 있으며 답은 3번이다.

 

해설 : 정보 투입 설계 시 검토사항은 투입 주기, 투입 장치, 투입 시 오류 검사, 입력 매체의 모양과 서식 등이 있다.

매체화 장치 결정은 입력 정보의 매체화에 대한 설계 검토사항이므로 답은 4번이다.

 

해설 : 파일 설계 순서는 파일 성격 검토 > 파일의 항목 검토 > 파일의 특성 조사 > 파일 매체의 검토> 편성법 검토이다.

 

해설 : 프로세스 차트를 기초로 하여 수행하고 계산 방법은 주변장치의 동작 시간 및 중앙 처리 장치의 동작 시간을 중심으로 계산하는 것은 입력에 의한 계산 방법이다.

 

해설 : 출력 정보 내용 설계 고려사항으로는 출력할 항목과 명칭, 배열 순서, 크기, 자릿수, 출력항목의 문자 표현 방법, 출력 항복에 대한 집계 방법, 오류 검사 방법으로 2번은 출력정보 매체화에 대한 설계임.

 

해설 : 자료의 정의 =, 자료의 연결 +, 자료의 선택 []. 자료의 반복 {}, 대체 항목의 나열 |, 자료의 설명 **, 자료의 생략 ()

 

해설 :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조를 이루는 기본 단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논리적 기능들을 수행하는 컴퓨터 지시어로

모듈은 서로 결헙되어 종속적으로 실행되지만, 각 모듈의 컴파일은 독립적으로 실행된다.

 

해설 : 폭포수 모델은 떨어진 물은 되돌아갈수 없음을 의미하여 하나의 과정이 끝나면 전단계로 넘어갈수 없는 선형 순차적인 방식으로 1번이 옳지 않다.

 

해설 : LFU(사용 빈도가 가장 적은 페이지), LRU(가장 최근에 사용하지 않은 페이지), FIFO(가장 오래된 페이지), SCR(FIFO 페이지 기법 보완)

 

해설 : HRN 공식 = (대기시간 + 서비스시간) / 서비스 시간으로 ㄱ=1, ㄴ=4, ㄷ=2 ㄹ=6 이므로 답은 ㄱ이다.

주의 : 계산값이 큰 것이 우선순위가 높은 것임.

 

해설 : 3페이지까지 들어갈수 있으니 123이 들어가고 최종적으로 남는건 4,1,3이므로 4번

 

해설 : 동일한 크기로 나누는 것은 '페이징 기법이며, 가변적인 크기로 나누는 것이 세그먼트 기법임.

 

해설 : SJF는 실행시간이 짧은 프로세스부터 먼저 처리하는 방식을 말한다.

 

해설 : SSTF방식은 헤드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트랙으로 이동하여 탐색거리가 가장 짧은 트랙을 먼저 보는 것으로 50과 제일 가까운 53이다.

 

해설 : 암호화, 코드변환은 표현계층인 프레젠테이션 계층이므로 2번이다. 

 

해설 : 수신 측이 비패킷형 단말기인 경우 'PAD'를 이용해 분할된 패킷을 조립한다.

 

해설 : 비동기 전송방식은 시작 비트, 정보 비트, 정지비트로 구성되어 있고 패리티비트를 추가하기도 한다. 그렇기 때문에 2번이 오답이다.

 

해설 : HDLC에는 표준정규응답(NRM), 비동기응답모드(ARM), 비동기 균형모드(ABM)이 있다.

 

해설 : 베어러 서비스는 단말기가 전송하는 정보를 변형 없이 그대로 전달만 하는 서비스로 회선교환이 답이다.

 

해설 : 데이터 전송 용량을 늘리기 위해서는 S/N비를 크게 해야한다.

 

해설 : IPv6는 128비트이므로 1번이 오답이다.

 

해설 : 단말장치(DTE)는 입출력, 전송제어, 기억 기능 3가지가 있으므로 1번이 오답이다.

 

해설 : 자동적으로 재전송을 요청하는 ARQ기법은 Continue ARQ 기법이다.

#250_이동 통신망

 - 무선 매체와 이동성을 전제로 하여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 어느 누구에게나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것

 - 통신의 내용에는 음성뿐만 아니라 신호, 데이터, 화상 정보 등을 모두 포함함

 - 다중 접속 방식

FDMA(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 주파수 대역을 일정 간격으로 분할해서 여러 사용자가 각기 주어지 주파수 대역에 채널을 설정하는 방식
TDMA(시분할 다중 접속) 방식 ㆍ주파수의 시간폭을 여러 개로 나누어서 각 시간폭에 대해 채널을 설정하는 방식
ㆍFDMA에 비해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3배 이상 가입자를 증가시킬 수 있음
CDMA(코드 분할 다중 접속) 방식 ㆍFDMA와 TDMA의 혼합 방식으로, 여러 사용자가 시간과 주파수를 공유하면서 서로 다른 코드를 부여한 신호를 확산하여 보내고 수신쪽에서는 동일한 코드로 확산된 데이터만을 골라 원래 신호로 재생하는 방식
ㆍ국내 디지털 셀룰러 시스템의 표준 방식
ㆍFDMA보다 가입자의 수용 용량이 10~20배가 넘음
ㆍ멀티미디어 서비스가 가능하게 함

 - 셀룰러 시스템 : 서비스 지역을 셀(Cell)이라고 하는 여러 개의 영역으로 나눈 후 각 셀마다 하나의 기지국을 설치하여 인접 셀 간에는 상호 간섭을 받지 않도록 하고, 어느 정도 떨어진 셀 간에는 동일 주파수 채널을 사용하도록 하는 방식

 - 셀룰러 시스템의 특징 : 주파수 재사용, 핸드 오프, 로밍 서비스

 - IMT-2000 : 현재 이동 통신의 문제점인 지역적 한계와 고속 전송에 대한 기술적 한계를 극복하고, 나라마다 달느 이동 통신 방식을 통일하여 한 대의 단말기로 전세계 어디서나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제 3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

 

#251_뉴 미디어(New Media)

 - 새로운 이란 뜻과 정보전달수단의 합성어로 최근의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로 새롭게 나타나게 되는 다양한 매체들을 의미

 - 쌍방향성, 탈대중화, 비동시성, 광대역성의 특징을 가짐

 - 유선계와 무선계로 분류

  ㆍ유선계 : CATV, 비디오텍스, VRS, 원격 회의, ARS, 텔레비전 전화, 팩시밀리 통신, 퍼스널 컴퓨터 통신, LAN, VAN, ISDN 등

  ㆍ무선계 : 위성통신, 텔레텍스트, HDTV, PCM 음성방송, 팩시밀리 방송, 개인 휴대 통신 등

  ㆍ독립계(패키지계) : 비디오 디스크, 디지털 오디오 디스크, VTR, 광디스크 등

 - 방송계와 통신계로 분류

  ㆍ방송계 : CATV, PCM 음성방송, 텔레텍스트, HDTV 등

  ㆍ통신계 : 원격 회의, 비디오텍스, 텔레텍스, VRS, 개인 휴대 통신, 퍼스널 컴퓨터 통신, LAN, VAN, ISDN 등

 - 중요 뉴 미디어

CATV ㆍ원래 난시청 해소를 목적으로 설치했던 공동시청 안테나를 이용하여 수신한 TV 신호를 일정한 전송로를 통하여 수용자에게 제공함
ㆍ양방향 통신이 가능하고 수용자의 범위가 한정적임
ㆍ다채널로서 방송뿐만 아니라 종합 정보 서비스가 가능
ㆍ전송로는 동축케이블이나 광섬유 케이블 사용
ㆍ기존 TV와 방송 방식이 동일하여 기존 TV를 단말 장치로 사용할 수 있음
비디오텍스 ㆍ각종 정보를 모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전화망을 통해 TV나 단말 장치에 접속하여 필요한 정보를 문자나 그림의 형태로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ㆍ정보 검색, 거래 처리, 메세지 전달, 예약 업무, 원격 감시 서비스 등을 함
ㆍ대화형 양방향 미디어로서, 요구하는 정보를 즉시 제공받을 수 있음
ㆍ문자 및 도형 정보의 표현 형식 : 모자이크 방식, 지오메트릭 방식, 포토 그래픽 방식 등
HDTV ㆍ기존의 TV 주사선을 늘리고 주파수 대역폭을 확대하여 선명한 화상과 양질의 음성 제공 TV
ㆍ위성 TV 방송, TV 회의 등의 새로운 매체의 단말 장치로 사용
텔레텍스트 ㆍTV 전파의 빈틈을 이용하여 TV 방송과 함께 문자나 도형 정보를 제공하는 문자 다중 방송
ㆍ일기 예보, 프로그램 안내나 방송되는 프로 세부설명, 교통 안내 등 방송국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일방적으로 수신하는 형태
텔레텍스 ㆍ워드프로세서 전용기와 같이 문서작성과 편집기능을 갖는 기기에 통신기능을 부가하여 공중 전화망이나 공중 데이터망을 통해서 문서를 교환하는 시스템
ㆍ문서를 작성중이거나 부재중에도 수신 가능
텔렉스 ㆍ문자, 숫자 및 기호 등의 정보를 텔렉스 교환기를 사용해서 전송하는 시스템
ㆍ최초의 문자 전송 시스템으로 가입 전신이라고도함
ㆍ사용자 부재중에도 통신이 가능하며, 사용하는 문자 수에 제한이 있음

 

#252_멀티미디어(Multimedia)

 - 다중 매체(정보 전달 수단)를 의미하는 것으로, 텍스트, 그래픽, 사운드, 동영상, 애니메이션 등의 다양한 매체를 디지털 데이터로 통합하여 전달함

 - 특징 : 디지털화, 쌍방향성, 비선형성, 정보의 통합성

 - 정지 영상 압축 표준

  ㆍJPEG : 정지 영상 압축의 국제 표준 방식

  ㆍ허프만 압축 기법 : 압축하려는 정보 내의 각 문자에 대한 발생 빈도를 조사해 자주 나타나는 문자에는 짧은 부호를, 잘 나타나지 않는 문자에는 긴 부호를 할당하는 방식

  ㆍLZW 압축 기법 : 연속된 문자열을 특수한 코드로 변환하여 표를 만들고, 그 다음에 그 문자열이 나타나면 이표의 코드로 해당 문자열을 변환하여 압축하는 방식

 - 동영상 압축 표준

AVI Windows의 표준 동영상 파일 형식
DVI 디지털 TV를 위한 압축 기술이었지만. Intel 사에 의해 멀티미디어 분야의 동영상 압축 기술로 발전
퀵 타임 Apple 사가 개발한 동영상 압축 기술
MPEG ㆍ동영상 압축을 위한 국제 표준 규격
ㆍMPEG-1 : CD-ROM과 같이 전송 속도가 약 1.5Mbps인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CD-1이나 비디오 CD등이 이 규격을 따르고 있음
ㆍMPEG-2 : 차세대 텔레비전 방송이나 ISDN, 케이블 망 등을 이용한 영상 전송을 위하여 제정되었으며, HDTV, 위성방송 DVD등이 이 규격을 따르고 있음
ㆍMPEG-4 : 통신, PC, 방송 등을 결합하는 복합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통합 표준을 위한 것으로, 공중망이나 무선 이동통신 등을 대상으로 하며, 특히 IMT-2000 환경에서 영상 정보 압축 전송시 필수적인 요소
ㆍMPEG-21 : 위의 MPEG 기술들을 통합해 디지털 컨텐츠 제작, 유통, 보안 등 전과정을 관리할 수 있는 기술
H.261 영상 전화 및 영상 회의용 터미널에 내장되는 동영상 압축 표준 규격

 - 오디오 압축 기술

WAVE ㆍ사운드의 원음을 샘플링하여 저장한 형식
ㆍ실제 소리를 저장하므로 재생이 쉽지만 용량이 큼
MDI ㆍ전자 악기간 또는 컴퓨터와 전자 악기간의 디지털 통신을 위한 규약
ㆍMDI 파일은 음성이나 효과음의 저장이 불가능하고, 연주 정보만 들어있으므로 크기가 작음
MP3 ㆍ고음질 오디오 압축의 표준 형식
ㆍMPEG에서 규정한 MPED-1 압축 기술을 이용하여 음반 CD 수준의 음질을 유지하면서 용량을 1/12크기로까지 압축 가능

#239_경로 제어(Routing)

 - 송수신측 간의 송신 경로 중에서 최적 패킷 교환 경로를 설정하는 기능

 - 경로 설정 요소 : 성능 기준, 경로의 결정 시간과 장소, 정보 발생지, 경로 정보의 갱신 기간

 - 경로 설정 프로토콜

  ㆍ자율 시스템(AS) 내의 라우팅 프로토콜 : IGP, RIP, ISPF

  ㆍ자율 시스템(AS) 간의 라우팅 프로토콜 : EGP, BGP

 - 경로 설정 방식

  ㆍ고정 경로 제어 = 착국 부호 방식 : 네트워크 내의 모든 쌍에 대해서 경로를 미리 정해 놓는 방식

  ㆍ적응 경로 제어(Adaptive Routing) : 전송 경로를 동적으로 결정하는 방식

  ㆍ범람 경로 제어(Flooding) : 네트워크 정보를 요구하지 않고, 송수신측 사이에 존재하는 모든 경로로 패킷 전송

  ㆍ임의 경로 제어(Random Routing) : 인접하는 교환기 중 하나를 임의로 선택하여 전송하는 방식

 

#240_LAN(근거리 통신망)

 - 광대역 통신망과 달리 한 건물이나 일정 지역내에 컴퓨터나 단말기들을 고속 전송 회선으로 연결하여 프로그램 파일 또는 주변 장치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한 네트워크

 - 단일 기관의 소유, 제한된 지역 내의 통신임

 - 광대역 전송 매체의 사용으로 고속 통신 가능

 - 경로 선택이 필요 없고, 오류 발생률이 낮음

 - 전송 매체로 꼬임선,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등을 사용

 -망의 구성 형태에 따라서 스타형, 버스형, 링형, 트리형으로 분류

 - 물리 계층과 데이터 링크 계층으로 나뉨

  ㆍ물리 계층 : OSI 7계층의 물리 계층과 동일

  ㆍ데이터 링크 계층 : 매체 접근 제어(MAC) 계층과 논리 링크 제어(LLC) 계층으로 나뉨`

 

#241_CSMA/CD 방식

 - 통신 회선이 사용 중이면 일정 시간동안 대기하고, 통신 회선 상에 데이터가 없을 때에만 데이터를 송신하며, 송신 중에도 전송로의 상태를 계속 검사함

 - 버스형 또는 성형 LAN에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

 - IEEE 802.3의 표준 규약임

 - 일정 길이 이하의 데이터를 송신할 경우 충돌을 검출할 수 없음

 - 전송량이 적을때 매우 효율적이고 신뢰성이 높음

 - 전송량이 많아지면 채널의 이용률이 떨어지고 전송 지연 시간이 급격히 증가함

 - 충돌 발생 시 다른 노드에서는 데이터를 전송할 수 없으며, 지연 시간을 예측하기 어려움

 

#242_네트워크 관련 장비

 - 허브(Hub) : 한 사무실이나 가까운 거리의 컴퓨터들을 연결하는 장치로, 각 회선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며, 신호 증폭 기능을 하는 리피터의 역할도 포함

 - 리피터 : 물리 계층 장비로 전송되는 신호를 재생해줌

 - 브리지 : 데이터 링크 계층의 장비로, LAN과 LAN을 연결하거나 LAN 안에서의 컴퓨터 그룹을 연결

 - 라우터 : 네트워크 계층 장비로, LAN과 LAN을 연결 및 경로 선택, 서로 다른 LAN이나 LAN과 WAN을 연결

 - 게이트웨이 : 프로토콜 구조가 전혀 다른 네트워크의 연결을 수행하는 장비로, 세션 계층, 표현 계층, 응용 계층간을 연결하여 데이터 형식 변환, 주소 변환, 프로토콜 변환 등을 수행

 

#243_VAN(부가 가치 통신망)

 - 공중 통신 사업자로부터 통신 회선을 임대하여 하나의 사설망을 구축하고 이를 통해 정보의 축척, 가공, 변환 처리 등 첨가한 후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망

 - 계층 구조 : 정보 처리 계층, 통신 처리 계층, 네트워크 계층, 기본 통신 계층

 - 기능 : 전송 기능, 교환 기능, 통신처리 기능, 정보처리 기능

 - 통신 처리 기능은 축척 교환 기능과 변환 기능으로 나뉨

  ㆍ축척 교환 기능 : 전자 사서함, 데이터 교환, 동보 통신, 정시 수집, 정시 배달

  ㆍ변환 기능 : 속도 변환, 프로토콜 변환, 코드 변환, 데이터 형식 변환, 미디어 변환

 

#244_ISDN(종합 정보 통신망)

 - 음성, 문자, 화상 등의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하나의 디지털 통신망을 근간으로 종합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통합한 것

 - 통신 방식 및 전송로가 모두 디지털 방식임

 - 단일 통신망으로 음성, 데이터, 영상 등의 다양한 서비스 제공

 - 고속 통신이 가능하며, 확장성과 재배치성이 좋음

 - 64Kbps 1회선 교환 서비스를 기본으로 함

 - ISDN의 통신 서비스

베어러 서비스 ㆍ단말기가 전송하는 정보를 변형 없이 그대로 전달만 하는 서비스
ㆍ회선 교환, 패킷 교환 등 하위 계층의 기능만을 제공
텔레 서비스 ㆍ베어러 서비스를 기본으로 고도의 기능을 부가하여 제공하는 서비스
ㆍ실제로 단말을 조작하고 통신하는 이용자 측에서 본 서비스
ㆍ상위 계층의 전화, 팩스, 텔레텍스, 비디오텍스, 텔렉스, 원격 회의 등의 서비스와 하위 계층의 정보 전송, 엑세스 서비스 등을 모두 제공
부가 서비스 베어러 서비스나 텔레 서비스에 발신 번호 표시, 수신자 부담, 통화 대기 등의 기능을 부가하여 서비스의 이용룰을 높이는 서비스

 

#245_ISDN의 구조

 - 주요 채널의 종류

채널 채널 속도 용도B
B 64Kbps ㆍ디지털 정보용 채널
ㆍ사용자의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채널
ㆍPCM화된 디지털 음성이나 회선 교환에 의한 제어 신호, 패킷 교환에 의한 정보의 전송에 이용
 
D 16Kbps
64Kbps
ㆍ디지털 신호용 채널
ㆍ16Kbps 이하 저속의 패킷 교환에 의한 정보 전송을 위해 이용
H0 384Kbps 고속의 디지털 정보용 채널
H11 1,536Kbps
H12 1,920Kbps

 - 기본 속도 인터페이스(BRI) :  2B + D + 오버헤드 = 2 x 64 + 16 +48 = 192Kbps

 

#246_ISDN의 기능 그룹과 참조점

 - 망 종단 장치(NT) : 망 관련 장비

 - 터미널 장비(TE) : 사용자 관련 장비

NT1 ㆍ가입자 접속망 종단 장치, 선로의 종단점
ㆍ1계층 선로 유지 보수 및 성능 감시, 다중화
ㆍ비트 동기(Timing)
NT2 ㆍ가입자 구내 교환 장치
ㆍ2~3계층의 프로토콜 처리 및 다중화
ㆍ교환, 집중화, 유지 보수 기능
TE1 ISDN 접속 기능을 가진 단말기
TE2 ISDN 접속 기능이 없는 단말기
TA ㆍTE2 단말기를 ISDN에 접속하는 역할
ㆍ프로토콜 및 속도 변환 기능
LE 상대방 ISDN 교환기와 연결의 제공하는 ISDN용 교환기

 - 참조점 : ISDN을 구성하는 각 요소 간의 인터페이스를 구분하는 기능을 말하는 것으로, 기준점, 접속점, 분계점이라고도 함. 정보 통신망 상호간을 연결할 때 시설, 운영 및 유지 보수의 책임 한계를 구분하기 위한 접속점이 됨

 

#247_인터넷(Internet)

 - TCP/I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여 전세계 수많은 컴퓨터와 네트워크들이 연결된 광범위한 컴퓨터 통신망

 - ARPANET에서 시작되었으며, 유닉스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함

 -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컴퓨터는 고유한 IP 주소를 가짐

 - 컴퓨터 또는 네트워크를 서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브리지, 라우터, 게이트웨이가 사용됨

 - 인터넷 서비스 : TCP/IP의 응용 계층에서 제공

WWW ㆍ텍스트, 그림, 동영상, 음성 등 인터넷에 존재하는 다양한 정보를 거미줄처럼 연결해놓은 종합 정보 서비스
ㆍ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하이퍼텍스트 기반으로 되어있음
전자우편 ㆍ인터넷을 통해 다른 사람과 편지뿐만 아니라 그림, 동영상 등 다양한 형식의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해주는 서비스
ㆍ프로토콜 : SMTP, POP3, MIME
FTP 컴퓨터와 컴퓨터 또는 컴퓨터와 인터넷 사이에서 파일을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원격 파일 전송 프로토콜
Telnet ㆍ멀리 떨어져 있는 컴퓨터에 접속하여 자신의 컴퓨터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서비스
ㆍ프로그램을 수행하는 등 시스템 관리 작업을 할 수 있는 가상의 터미널 기능을 수행
Usernet 분야별로 공통의 관심사를 가진 인터넷 사용자들이 서로의 의견을 주고받을수 있게 하는 서비스

 

#248_인터넷의 주소 체계

 - IP 주소 :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컴퓨터의 자원을 구분하기 위한 고유한 주소로, 숫자로 8비트씩 4부분, 총 32비트로 구성되며 A~E클래스까지 총 5단계로 나뉘어짐

 - 서브넷 마스크 : 4바이트의 IP 주소 중에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를 구분하기 위한 비트

 - IPv6 : IPv4의 주소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16비트씩 8부분, 총 128비트로 구성되며, 각 부분은 16진수로 표현하고 콜론으로 구분함

 - 도메인 네임 : 숫자로 된 IP주소를 문자 형태로 표현한 것으로 호스트 컴퓨터명, 소속 기관 이름, 소속 기관 종류, 소속 국가명 순으로 구성

 - DNS : 문자로 된 도메인 네임을 IP주소로 변환

 

#249_위성 통신

 - 지상에서 쏘아 올린 마이크로 주파수를 통신 위성을 통해 변환, 증폭한 후 다른 주파수로 지상에 송신하는 방식

 - 위성 통신에 사용하고 있는 주파수 대역은 3~30GHz의 극초단파(SHF)임

 - 통신 위성은 약 35,800km 정도의 정지 궤도상에 위치하여 지구의 자전 속도로 운행

 - 한 대의 통신 위성은 지구 표현의 약 42.4% 지역을 커버할 수 있으므로 이론상 최소한 3개의 정지 위성만 있으면 극 지역을 제외한 지구상의 어느 지점과도 통신이 가능

 - 대역폭이 넓어 고속 대용량 통신이 가능하고, 통신 비용이 저렴

 - 오류율이 적어 고품질의 정보 전송 가능

 - 통신 범위가 넓으며, 전송 비용이 거리에 무관하게 일정

 - 전송 지연 시간이 길며, 보안성이 취약

 - 위성 통신 시스템은 통신 위성, 지구 국, 채널로 구성됨

#227_통신 프로토콜

 - 정의 : 서로 다른 기기들 간의 데이터 교환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표준화 시켜놓은 통신 규약

 - 기본 요소 : 구문(Syntax), 의미(Semantics), 시간(Timing)

 - 기능 : 단편화, 재결합, 캡슐화, 흐름 제어, 오류 제어, 동기화, 순서 제어, 주소 지정, 다중화, 경로 제어, 전송 서비스(우선 순위, 서비스 등급, 보안성)

 - 캡슐화 할 때 제어 정보에 포함되는 것 : 송수신지 주소, 오류 검출 코드, 프로토콜 제어 정보

 

#228_흐름 제어(Flow Control)

 - 통신망 내의 원활한 흐름을 위해 송수신측 사이에 전송되는 패킷의 양이나 속도를 규제하는 기능

 - 정지-대기(Stop-and-Wait)

  ㆍ수신측의 확인(ACK) 신호를 받은 후에 다음 패킷을 전송하는 방식

  ㆍ한번에 하나의 패킷만 전송할 수 있음

 - 슬라이딩 윈도우

  ㆍ수신측의 확인 신호를 받지 않더라도 미리 정해진 패키의 수만큼 연속적으로 전송하는 방식

  ㆍ한번에 여러 개의 패킷을 전송할 수 있어 전송 효율이 좋음

  ㆍ윈도우 크기  ; 수신 측의 확인 신호 없이도 전송할 수 있는 패킷의 개수로, 상황에 따라 변함

 

#229_OSI 참초 모델

 - 다른 시스템 간의 원활한 통신을 위해 ISO(국제 표준화 기구)에서 제안한 통신 규악

 - OSI 7계층 : 하위 계층(물리, 데이터링크, 네트워크), 상위 계층(전송, 세션, 표현, 응용)

 - 물리 계층 : 전송에 필요한 두 장치 간의 실제 접속과 절단 등 기계적, 전기적, 기능적, 절차적 특성을 정의

 - 데이터 링크 계층

  ㆍ두개의 인접하나 개방 시스템들 간에 신뢰성 있고 효율적인 정보 전송을 할 수 있도록 함

  ㆍ흐름 제어, 프레임 동기, 오류 제어, 순서 제어

 - 네트워크 계층

  ㆍ개방 시스템들 간의 네트워크 연결 관리, 데이터의 교환 및 중계

  ㆍ경로 설정(라우팅), 트래픽 제어, 패킷 정보 전송

 - 전송 계층

  ㆍ종단 시스템간에 투명한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함

  ㆍ전송 연결 설정, 데이터 전송, 전송 연결 해제 가능

  ㆍ주소 설정, 다중화, 에러 제어, 흐름 제어

 - 세션 계층

  ㆍ송수신측 간의 관련성을 유지하고 대화 제어를 담당

  ㆍ대화 구성 및 동기 제어, 데이터 교환 관리 기능

  ㆍ체크점 : 오류가 있는 데이터의 회복을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소동기점과 대동기점이 있음

 - 표현 계층

  ㆍ응용 계층으로부터 받은 데이터를 세션 계층에 맞게, 세션 계층에서 받은 데이터는 응용 계층에 맞게 변환하는 기능

  ㆍ코드 변환, 데이터 암호화, 데이터 압축, 구문 검색, 정보 형식 변환, 문맥 관리 기능

 - 응용 계층

  ㆍ사용자(응용 프로그램)가 OSI 환경에 접근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

 

#230_X.25

 - 패킷 교환망을 통한 DCE와 DTE 간의 인터페이스 제공

 - ITU-T에서 제정한 국제 표준 프로토콜로, 우수한 호환성을 가짐

 - 신뢰성과 효율성이 높고, 전송 품질이 우수

 - X.25의 계층 구조 : 물리 계층, 프레임 계층, 패킷 계층

 - LAPB : HDLC의 원리를 이용한 비트 중심의 프로토콜로, X.25의 2계층에서 사용

 - 프레임 릴레이 : 기존의 X.25가 갖는 오버 헤드를 제거하여 고속 데이터 통신에 적합하도록 개선한 프로토콜

 - 패킷 교환을 위한 수행 절차 : 호 설정 → 데이터 전송 → 호 해제

 

#231_TCP/IP

 - UNIX의 기본 프로토콜로 사용되었고, 현재 인터넷 표준 프로토콜임

 - TCP/IP의 계층

  ㆍ응용 계층 : 응용 프로그램 간의 데이터 송수신 제공하며 TELNET, FTP, SMTP, HTTP 등이 있음

  ㆍ전송 계층 : 호스트들 간의 신뢰성 있는 통신 제공하며 TCP, UDP 가 있음

  ㆍ인터넷 계층 : 데이터 전송을 위한 주소지정, 경로 설정을 담당하며 IP. ICMP, IGMP, ARP, RARP 등이 있음

  ㆍ링크 계층 : 실제 데이터(프레임)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하며 이더넷, IEEE 802, HDLC, X.25 RS-232C 등이 있음

 - 주요 프로토콜

TCP ㆍOSI 7계층의 전송 계층에 해당
ㆍ신뢰성 있는 연결형 서비스 제공
ㆍ패킷의 다중화, 재순서화, 오류 제어, 흐름 제어 기능
IP ㆍOSI 7계층의 네트워크 계층에 해당
ㆍ데이터그램을 기반으로 하는 비연결형 서비스 제공
ㆍ패킷의 분해/조립, 주소 지정, 경로 선택 기능
ICMP IP와 조합하여 통신 중에 발생하는 ㅇ오올오류의 처리와 전송 경로 변경 등을 위한 제어 메세지를 관리하는 역할을 함
ARP 호스트의 IP 주소를 호스트와 연결된 네트워크 접속 장치의 물리적 주소(MAC) 으로 변환
RARP 물리적 주소를 IP주소로 변환

#232_표준안 제정 기관

 - 국제 표준화 기구(ISO), 국제전기통신연합(ITU), 국제전기표준협회(IEC), 미국표준기구(ANSI), 전자공업협회(EIA), 전기전자기술자협회(IEEE)가 있음

 - 주요 ITU-T 권고 시리즈

  ㆍI 시리즈 : ISDN에 관한 권고

  ㆍX 시리즈 : 공중 데이터망(PSDN)을 통한 데이터 전송에 관한 권고

  ㆍY 시리즈 : 공중 전화망(PSTN)을 통한 데이터 전송에 관한 권고 

  ㆍT 시리즈 : 텔레마틱 서비스를 위한 단말 장치와 프로토콜에 관한 권고

 

#233_망(Network)의 구성 형태

 - 성형(Star, =중앙 집중형)

  ㆍ중앙에 중앙 컴퓨터가 있고, 이를 중심으로 단말기들이 연결되는 중앙 집중식의 네트워크 구성 형태

  ㆍ단말기의 추가와 제거가 쉽고 교환 노드의 수가 가장 적음

 - 링형(Ring, =루프형)

  ㆍ컴퓨터와 단말기들을 서로 이웃하는 것끼리 포인트 투 포인트 방식으로 연결시킨 형태

  ㆍ데이터는 단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단방향 링의 경우 컴퓨터, 단말기, 통신 회선 중 어느 하나라도 고장나면 전체 통신망에 영항을 미침

 - 계층형(Tree, =분산형)

  ㆍ중앙 컴퓨터와 일정 지역의 단말기까지는 하나의 통신 회선으로 연결시키고, 이웃하는 단말기는 일정 지역 내에 설치된 중간 단말기로부터 다시 연결시키는 형태

  ㆍ분산 처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방식임

 - 망형(Mesh)

  ㆍ모든 지점의 컴퓨터와 단말기를 서로 연결한 형태로, 노드의 연결성이 높음

  ㆍ많은 단말기로부터 많은 양의 통신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 유리

  ㆍ공중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며, 통신 회선의 총 경로가 가장 김

  ㆍ통신 회선 장애 시 다른 경로를 통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음

  ㆍ모든 노드를 망형으로 연결할 때 필요한 회선 수(노드 = n) : n(n-1)/2

 

#234_전용 회선/교환 회선

 - 전용 회선

  ㆍ송수신 상호간에 통신 회선이 항상 고정되어 있는 방식

  ㆍ전송 속도가 빠르고, 전송 오류가 적음

  ㆍ사용 방법이 간편하며 업무 적용이 쉬움

  ㆍ전송할 데이터의 양이 많고, 회선의 사용 시간이 많을 때 효율적임

  ㆍ고장 발생시 유지보수 유리

 - 교환 회선

  ㆍ교환기에 의해서 송수신 상호간 통신 회선이 연결되는 방식

  ㆍ전용 회선에 비해 전송 속도(4800bps 이하)가 느림

  ㆍ정보보안을 위해 정보 누설과 파괴를 방지하는 조치가 필요함

  ㆍ회선을 공유하므로 효용도가 높고, 통신 장치와 회선 비용을 줄일 수 있음

  ㆍ전송할 데이터의 양이 많지 않고, 회선 사용 시간이 적을 떄 효율적

  ㆍ교환 기술의 성능 비교 요소 : 전파 지연, 전송 시간, 노드 지연, 데이터 처리율

 

#235_회선 교환 방식

 - 통신을 원하는 두 지점을 교환기를 이용하여 물리적으로 접속시키는 방식

 - 데이터 전송 전에 먼저 통신망을 통한 연결 필요

 - 접속이 되고 나면 그 통신 회선은 전용 회선에 의한 통신처럼 전달됨(고정 대역 전송)

 - 접속에는 긴 시간이 소요되나, 일단 접속되면 전송 지연이 거의 없어 실시간 전송 가능

 -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전체 시간이 축척 교환 방식에 비해 김

 - 통신 과정 : 호(링크) 설정 - 데이터 전송 - 호(링크) 해제

 - 공간 분할 교환 방식과 시간 분할 교환 방식으로 나눠며, 시분할 교환 방식에는 TDM 버스 교환 방식, 타임 슬롯 교환 방식, 시간 다중화 교환 방식이 있음

 - 제어 신호 방식

  ㆍ감시(관리) 제어 신호 : 상대방과 통화하는데 필요한 자원을 이용할 수 있는지를 결정하고 알리는데 사용하며 서비스 요청, 응답, 경보 및 휴지상태 복귀 신호 등의 기능을 제공

  ㆍ주소 제어 신호 : 상대방을 식별하고 경로를 배정하여 전화를 울리게 하는 데 사용

  ㆍ호 정보 제어 신호 : 신호음, 연결음, 통화중 신호음 등 호의 상태 정보를 송신자에게 제공

  ㆍ망 관리 제어 신호 : 통신망의 전체적인 운영, 유지, 고장 수리 등을 위해 사용

 

#236_축척 교환 방식

 - 송신측에서 전송한 데이터를 송신 측 교환기에 저장했다가 이를 다시 적절한 토신 경로를 선택하여 수신측 터미널에 전송하는 방식

 - 메세지 교환 방식

  ㆍ교환기가 일단 송신측의 메세지를 받아서 저장한 후 전송 순서가 되면 수신 측으로 전송

  ㆍ전송 메세지는 추후 검색 가능

  ㆍ전송 지연 시간이 매우 김

  ㆍ응답 시간이 느려 대화형 데이터 전송에 부적절

 - 패킷 교환 방식

  ㆍ메세지를 일정한 길이의 패킷으로 잘라서 전송

  ㆍ회선 이용률이 높음

  ㆍ수신측에서 분할된 패킷을 재조립 해야됨

  ㆍ응답시간이 빠르므로, 대화형 응용이 가능

  ㆍ음성 전송보다 데이터 전송에 적합

  ㆍ패킷 : 전송 혹은 다중화를 목적으로, 메세지를 이렂ㅇ한 비트 수로 분할하여 송수신측 주소와 제어 정보 등을 부가하여 만든 데이터 블록

 

#237_패킷 교환 방식의 종류

 - 가상 회선 방식

  ㆍ단말기 상호간에 논리적인 가상 통신 회선을 미리 설정하여 송신지와 수신지 사이의 연결을 확립한 후에 설정된 경로를 따라 패킷들을 순서적으로 운반하는 형식

  ㆍ컴퓨터 사이의 데이터 전송의 안정, 신뢰성이 보장

  ㆍ패킷의 송수신 순서가 같음

  ㆍ통신 과정 : 호 설정 - 데이터 전송 - 호 해제

 - 데이터그램 형식

  ㆍ 연결 경로를 설정하지 않고 인접한 노드들의 트래픽 상활을 감안하여 각각의 패킷들을 순서에 상관없이 독립적으로 운반하는 방식

  ㆍ패킷마다 전송 경로가 다르며 송수신 순서가 다를수 있음

 

#238_패킷 교환망의 기능

 - 패킷 다중화 : 동시에 다수가 상대 터미널과 통신을 수행하도록 하는 기능

 - 경로 제어(라우팅) : 가장 효율적인 전송로를 선택하는 기능

 - 논리 채널 : 송수신측 단말기 사이에서 논리 채널(가상 회선)을 설정하는 기능

 - 순서 제어 : 패킷의 송수신 순서를 제어하는 기능

 - 트래픽 제어 : 전송되는 패킷의 흐름 또는 그 양을 조절하기 위해 교착상태의 방지, 흐름제어 등을 수행

 - 오류 제어 : 오류를 검출하고 정정하는 기능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