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_리눅스 설치 개요

(1) 리눅스 설치 파일은 해당 배포본의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 가능

(2) 리눅스는 단 하나의 제품 또는 한 종류의 제품군만 있는 것이 아님

(3) 특수한 목적으로 개발된 임베디드 디바이스에 적용된 리눅스부터 일반 사용자를 위해 만들어진 PC 또는 노트북과 같은 하드웨어에 사용할 수 있는 리눅스까지, 많은 종류의 리눅스 운영체제 존재

(4) 리눅스 배포판마다 설치 환경과 과정이 상이

(5) 리눅스 설치 유형은 배포판마다 다르지만 패키지에 따라 데스크톱형, 서버형, 사용자 정의형으로 구분

Minimal  리눅스 설치 시 필수 패키지만 설치
데스크톱 ㆍ개인용 컴퓨터에 적합한 패키지 설치
ㆍ하드디스크의 모든 리눅스 파티션을 삭제하고 데스크톱 운영에 적합한 환경으로 설치 진행
ㆍ문서 작성, 멀티미디어, 그래픽 도구 관련 프로그램들의 설치
  - Minimal Desktop은 개인용 컴퓨터로 사용하기 위해 최소 프로그램만 설치되며 문서 작성과 같은 프로
    그램은 설치되지 않음
서버  하드디스크의 모든 파티션을 삭제하고 서버 운영에 적합한 패키지 설치
  - Basic 서버 : 리눅스 서버의 필수 기본 패키지 설치
  - Database 서버 : 데이터베이스 서버 관련 패키지 설치
  - Web 서버 : 아파치 웹 서버 관련 패키지 설치
랩탑  노트북 등 랩탑 시스템에 적합한 패키지 설치
가상 호스트 ㆍ가상화 시스템 운영을 위한 패키지 설치
ㆍ하이퍼바이저 KVM이나 Xen을 설치
Software
Development
Workstation
ㆍ소프트웨어 설치 시 필요한 다양한 도구(tool)들이 포함된 패키지 설치
ㆍ소스 컴파일 도구를 기본적으로 포함하기 위해 선택
사용자 설정 시스템  사용자 취향에 맞는 소프트웨어 선택 후 설치

 - 사용자 설정 시스템을 제외한 다른 설치 유형을 선택하게 되면 인스톨에서 하드디스크를 자동으로 재구성하므로 기존 데이터 모두 제거

(6) 설치 전에 시스템에 있는 모든 파일은 반드시 백업

 - 디스크를 파티션하면 파티션 프로그램으로 어떤 프로그램을 사용하든 간에 그 디스크에 있는 모든 파일 지워짐

(7) 멀티 부팅 시스템을 만든다면, 현재 운영체제의 배포 미디어를 가지고 있어야 함

(8) 부팅 드라이브를 다시 파티션하는 경우라면, 운영체제의 부트로더를 다시 설치해야 할수도 있고, 더 많은 경우에 운영체제 전체를 해당 파티션에 다시 설치해야 함

 

#02_리눅스 설치를 위한 하드웨어 정보 파악

 

(1) 하드웨어 정보

 - 최근 리눅스 배포판들은 하드웨어 호환성이 우수

 - 설치 마법사의 Plug and Play(PNP) 기능으로 자동으로 하드웨어 검색

 - 설치 전에 하드웨어에 대한 정보를 알아두는 것이 설치 작업에 용이

 - 하드웨어 정보 파악은 하드웨어 문제가 발생했을 때 장애처리의 실마리가 될 수 있음

 - 설치를 위한 하드웨어 정보를 파악하여야 함

하드웨어 정보
CPU ㆍ제조사와 모델명 확인
ㆍ32비트 CPU 또는 64비트 CPU 파악
ㆍ가상화 환경에서는 CPU의 물리적 개수와 코어(core) 개수 확인

메모리(RAM) ㆍ메모리 용량 확인
ㆍSWAP 파티션 설정 시 사용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하드디스크의 파일명 확인
  - IDE 또는 ATA 하드디스크 타입 파일명 : /dev/hdX
  - S-ATA, USB, SSD, SCSI 하드디스크 타입 파일명 : /dev/sdX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ㆍ제조사, 모델명, 유무선 여부, 어댑터 종류
ㆍTCP/IP 속성 정보 확인
모니터  제조사, 모델명, 지원하는 모델 해상도와 색상
프린터  모델 및 제조사, 지원하는 인쇄 해상도
키보드  운영 타입(PS/2, USB 방식) 확인
마우스  종류(시리얼, PS/2, USB), 포트, 제조사
비디오카드  제조사, 모델명, 비디오램 크기, 지원하는 해상도와 색상 수

 - 필요한 시스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은 아래와 같음

  ㆍ시스템 구매 시 받은 제품 설명서

  ㆍBIOS 설정 화면 : 시스템에 전원을 넣고 [F2] 또는 [Delete]를 누르면 BIOS 설정 화면 표시

  ㆍ장치 관리자 : 윈도우 시스템이 설치되어 있다면 [제어판] → [시스템 및 보안] → [장치 관리자] 선택 실행

  ㆍ시스템 정보 수집 프로그램 사용

 - 시스템이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라면 네트워크 정보를 정확히 기록

 - 시스템의 이름 정보(호스트 이름, 도메인 이름)와 TCP/IP 주소 정보(IP 주소, 넷마스크, 게이트웨이 주소, DNS 주소) 필요

 - 윈도우에서는 [제어판] → [네트워크 및 인터넷] → [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 를 선택하고 필요한 정보 수집

 

(2) 하드웨어 호환성

 - 리눅스는 많은 하드웨어 제품들에서 문제없이 작동하지만 다른 운영체제들(ex.Windows)만큼 다양한 종류를 하드웨어에서 동작하지 못함

 - 하드웨어 호환성은 다음의 방법으로 확인 가능

  ㆍ제조사의 웹 사이트에서 새 드라이버 확인

  ㆍ웹 사이트와 맨얼에서 에뮬레이션에 대한 정보 찾기(덜 알려진 상표의 제품이 더 많이 알려진 제품의 드라이버와 설정들을 그대로 사용)

  ㆍ해당 아키텍처에 관한 웹사이트에서 리눅스 하드웨어 호환성 목록 확인

 

(3) 네트워크 설정

 - 시스템 관리자는 네트워크 설정에 대한 정보를 알고 있어야 함

  ㆍ호스트명과 도메인

  ㆍ컴퓨터의 IP 주소, 서브넷 마스크

  ㆍ게이트웨이 주소

  ㆍDNS 서버 주소

 - 무선 네트워크를 사용한다면 무선 네트워크 SSID와 보안키를 사용할 경우 WEP 키 확인

 

#03_리눅스 설치

(1) CentOS 리눅스 주요 버전은 다음과 같음

버전 프로세서 아키텍처 커널 발표일
2.1  i386  2.4.9  2004년 5월 14일
3.1  i386, ia64, s390, s390x, x86_64  2.4.21  2004년 3월 20일
4.0  i386, ia64, ppc, s390, s390x, x86_64  2.6.9  2005년 3월 20일
5.0  i386, x86_64  2.6.18  2007년 4월 12일
6.0  i386, x86_64  2.6.32  2011년 7월 10일
7.0  x86_64  3.10.0  2014년 7월 7일

(2) CentOS 7부터 커널 3.X 이상을 사용

(3) 커널(Kernel)

 - 운영체제의 핵심 부분으로 CPU나 메모리, 기타 디바이스 등의 시스템 자원을 관리하고 사용자 프로그램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함

 - 커널 버전은 검증이 완료된 안전 버전과 개발 중인 개발 버전으로 분류

 - 커널명은 '주버전.부버전,배치버전'으로 구성

커널명    3.  10.  17.  1
                                                                                                  ⓐ  ⓑ   ⓒ  ⓓ
상태 설명
ⓐ 3  주버전  커널의 기능상 획기적이거나 커다란 변화가 있을 때에만 증가
ⓑ 10  부버전  기능의 업그레이드 및 추가 등의 비교적 작은 변화가 있을 경우 증가
ⓒ 17  패치 레벨  커널의 해당 버전에 대한 수정이 있을 경우 증가
ⓓ 1  안전 버전 일련번호  안전 버전에서만 사용

 - 부버전이 짝숭면 안정 커널이고, 홀수이면 개발 커널임

(4) 다음은 CentOS 7을 설치하기 위한 최소 하드웨어 요구사항임

하드웨어 요구사항
CPU  1GHZ 프로세서
메모리  최소한 1024MB 메모리 필요
하드디스크 여유공간  10GB 이상의 여유 공간 권장

 

'자격증 > 리눅스마스터 2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3. 리눅스 라이선스  (0) 2022.11.15
2. 리눅스의 역사  (0) 2022.11.07
1. 리눅스의 개요  (0) 2022.11.0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