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설 : 중위식을 가로로 묶고 (A/B)*(C+D)+E 후위식은 피연산자 다음에 연산자가 나오는 표기식이므로 연산자를 오른쪼 쪽 괄호 밖으로 옮겨준다 AB/CD+*E+
해설 : DISTINCT는 중복된 튜플이 있으면 그 중하나만 검색하는 조건으로
(ㄱ) 중복을 제거한 DEPT 열의 값 = 컴퓨터정보과, 인터넷정보과, 사무자동화과로 3개
(ㄴ) DEPT열의 값을 모두 다 가져옴으로 120+160+80=360
(ㄷ) 중복된 튜플 중 하나의 값으로 컴퓨터정보과 DEPT 한개만 표현되므로 1
해설 : 데이터베이스 정의는 통합(Integraterd), 저장(Stored), 운영(Operationla), 공용(Shared) 이며, 여분(Redundancy)이 오답임
해설 : 위의 문장을 해석하면 '모든 삽입은 한쪽 끝, 뒤쪽에서 이루어지고, 모든 삭제는 다른 쪽 끝, 앞쪽에서 이루어집니다.' 라는 문장으로 선입선출(FIFO) 방식의 큐(queue)를 의미하므로 3번이다.
해설 : 릴레이션에 포함된 튜플은 모두 상이하며, 한 릴레이션에 포함된 튜플 사이에는 순서가 없고, 속성 사이에도 순서가 없다. 하지만 원자값이이여도 상관 없기 떄문에 정답은 2번이다.
해설 : DML은 데이터 조작어로 SELECT, INSERT, DELETE, UPDATE가 있다.
해설 : 뷰는 사용자에게 접근이 허용된 자료만을 제한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가상 테이블로 복잡도를 유도하지 않는다.
해설 : 1회전=45321 2회전=34521 3회전=23451 4회전=12345
해설 : 관계해석이란 관계 데이터베이스 관리에서 관계를 조작하기 위한 비절차적인 방법의 하나로 튜플 관계해석과 도메인 관게 해석이 있다. 2번의 보기는 관계대수에 관한 설명으로 오답이다.(관계해석은 비절차적)
해설 : 인터럽트 발생 시 서비스 루틴의 분기 주소를 결정하는 방법은 '벡터 인터럽트' 이므로 4번
해설 :
해석 : 부동소수점 표현의 수들 사이의 곱셈 알고리즘 과정에서는 가수의 위치를 조정하지 않는다.
곱셈 연산 알고리즘 : 0인지 여부 조시 - 가수를 더함 - 가수를 곱함 - 결과를 정규화함
해석 : 관계, 논리, 산술 3가지 연산자가 혼합되어 나왔을때 연산 순서는 '산술 → 관계 → 논리' 순서이다.
해설 : '기억장치 용량 = 2^(워드의 수) x 워드의 길이'로 8K x 8 = 2^3 x 2^10 x 8 = 2^13 x 8
워드의 수 = 어드레드 선 = 13
워드의 길이 = 입출력선 = 8
해설 : Indirect(간접)단계는 fetch(인출)단계에서 해석된 명령의 주소부가 간접주소 인 경우에 수행되는 단계이다. 만약 직접 주소인 경우 바로 Execute(실행)단계를 거친다. 그러므로 옳은 답은 2번이다.
해설 : 시간 공간적 특성 차이에는 버스 구성이 포함되지 않는다.(동작의 속도, 착오 발생률, 정보의 단위, 동작의 자율성)
해설 : 실린더는 서로 다른 면들에 있는 위치의 트랙들의 모임으로 자기디스크 장치의 구성요소가 아님
해설 : 상대(relative) 주소 = 명령어의 주소 + PC 로 4번은 인덱스 레지스터의 주소 지정 방식이다.
해설 : 폴링 방법이 소프트웨어 적인 방법은 맞지만, 하드웨어 방법(데이지체인)에 비하여 인터럽트 반응 속도가 느리다.
해설 : 제어 장치의 순차 카운터는 디코더에 의해 선택된 번호에 해당하는 타이밍 신호를 생성한다.
해설 : Load 명령어는 기억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CPU로 가져오는 명령으로 자료 전달 명령어다.
해설 : 인터럽트 발생 시에만 인터럽트 사이클로 가게 되며, interrupt 사이클 이후에는 다시 fetch로 가게 된다.
해설 : 1001을 그레이 코드로 XOR연산(두개가 같으면 0, 하나라도 다르면 1)하면 1101이다.
해설 : 표준 패턴 처리 종류는 변환(Conversation), 병합(Merge), 갱신(Update), 분배(Distribute), 추출(Extract), 대조(Matching), 조합(Collate), 생성(Generate) 이 있으며 답은 3번이다.
해설 : 정보 투입 설계 시 검토사항은 투입 주기, 투입 장치, 투입 시 오류 검사, 입력 매체의 모양과 서식 등이 있다.
매체화 장치 결정은 입력 정보의 매체화에 대한 설계 검토사항이므로 답은 4번이다.
해설 : 파일 설계 순서는 파일 성격 검토 > 파일의 항목 검토 > 파일의 특성 조사 > 파일 매체의 검토> 편성법 검토이다.
해설 : 프로세스 차트를 기초로 하여 수행하고 계산 방법은 주변장치의 동작 시간 및 중앙 처리 장치의 동작 시간을 중심으로 계산하는 것은 입력에 의한 계산 방법이다.
해설 : 출력 정보 내용 설계 고려사항으로는 출력할 항목과 명칭, 배열 순서, 크기, 자릿수, 출력항목의 문자 표현 방법, 출력 항복에 대한 집계 방법, 오류 검사 방법으로 2번은 출력정보 매체화에 대한 설계임.
해설 : 자료의 정의 =, 자료의 연결 +, 자료의 선택 []. 자료의 반복 {}, 대체 항목의 나열 |, 자료의 설명 **, 자료의 생략 ()
해설 :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조를 이루는 기본 단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논리적 기능들을 수행하는 컴퓨터 지시어로
모듈은 서로 결헙되어 종속적으로 실행되지만, 각 모듈의 컴파일은 독립적으로 실행된다.
해설 : 폭포수 모델은 떨어진 물은 되돌아갈수 없음을 의미하여 하나의 과정이 끝나면 전단계로 넘어갈수 없는 선형 순차적인 방식으로 1번이 옳지 않다.
해설 : LFU(사용 빈도가 가장 적은 페이지), LRU(가장 최근에 사용하지 않은 페이지), FIFO(가장 오래된 페이지), SCR(FIFO 페이지 기법 보완)
해설 : HRN 공식 = (대기시간 + 서비스시간) / 서비스 시간으로 ㄱ=1, ㄴ=4, ㄷ=2 ㄹ=6 이므로 답은 ㄱ이다.
주의 : 계산값이 큰 것이 우선순위가 높은 것임.
해설 : 3페이지까지 들어갈수 있으니 123이 들어가고 최종적으로 남는건 4,1,3이므로 4번
해설 : 동일한 크기로 나누는 것은 '페이징 기법이며, 가변적인 크기로 나누는 것이 세그먼트 기법임.
해설 : SJF는 실행시간이 짧은 프로세스부터 먼저 처리하는 방식을 말한다.
해설 : SSTF방식은 헤드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트랙으로 이동하여 탐색거리가 가장 짧은 트랙을 먼저 보는 것으로 50과 제일 가까운 53이다.
해설 : 암호화, 코드변환은 표현계층인 프레젠테이션 계층이므로 2번이다.
해설 : 수신 측이 비패킷형 단말기인 경우 'PAD'를 이용해 분할된 패킷을 조립한다.
해설 : 비동기 전송방식은 시작 비트, 정보 비트, 정지비트로 구성되어 있고 패리티비트를 추가하기도 한다. 그렇기 때문에 2번이 오답이다.
해설 : HDLC에는 표준정규응답(NRM), 비동기응답모드(ARM), 비동기 균형모드(ABM)이 있다.
해설 : 베어러 서비스는 단말기가 전송하는 정보를 변형 없이 그대로 전달만 하는 서비스로 회선교환이 답이다.
해설 : 데이터 전송 용량을 늘리기 위해서는 S/N비를 크게 해야한다.
해설 : IPv6는 128비트이므로 1번이 오답이다.
해설 : 단말장치(DTE)는 입출력, 전송제어, 기억 기능 3가지가 있으므로 1번이 오답이다.
해설 : 자동적으로 재전송을 요청하는 ARQ기법은 Continue ARQ 기법이다.
'자격증 > 정보처리산업기사 - 개정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처리산업기사 필기_5과목, 정보 통신 개론(#250~#252) (0) | 2020.06.15 |
---|---|
정보처리산업기사 필기_5과목, 정보 통신 개론(#239~#249) (0) | 2020.06.15 |
정보처리산업기사 필기_5과목, 정보 통신 개론(#227~#238) (0) | 2020.06.15 |
정보처리산업기사 필기_5과목, 정보 통신 개론(#216~#226) (0) | 2020.06.15 |
정보처리산업기사 필기_5과목, 정보 통신 개론(#205~#215) (0) | 2020.06.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