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설 :  중위식을 가로로 묶고 (A/B)*(C+D)+E 후위식은 피연산자 다음에 연산자가 나오는 표기식이므로 연산자를 오른쪼 쪽 괄호 밖으로 옮겨준다 AB/CD+*E+

 

해설 : DISTINCT는 중복된 튜플이 있으면 그 중하나만 검색하는 조건으로

(ㄱ) 중복을 제거한 DEPT 열의 값 = 컴퓨터정보과, 인터넷정보과, 사무자동화과로 3개

(ㄴ) DEPT열의 값을 모두 다 가져옴으로 120+160+80=360

(ㄷ) 중복된 튜플 중 하나의 값으로 컴퓨터정보과 DEPT 한개만 표현되므로 1

 

해설 : 데이터베이스 정의는 통합(Integraterd), 저장(Stored), 운영(Operationla), 공용(Shared) 이며, 여분(Redundancy)이 오답임

 

해설 : 위의 문장을 해석하면 '모든 삽입은 한쪽 끝, 뒤쪽에서 이루어지고, 모든 삭제는 다른 쪽 끝, 앞쪽에서 이루어집니다.' 라는 문장으로 선입선출(FIFO) 방식의 큐(queue)를 의미하므로 3번이다.

 

해설 : 릴레이션에 포함된 튜플은 모두 상이하며, 한 릴레이션에 포함된 튜플 사이에는 순서가 없고, 속성 사이에도 순서가 없다. 하지만 원자값이이여도 상관 없기 떄문에 정답은 2번이다.

 

해설 : DML은 데이터 조작어로 SELECT, INSERT, DELETE, UPDATE가 있다.

 

해설 : 뷰는 사용자에게 접근이 허용된 자료만을 제한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가상 테이블로 복잡도를 유도하지 않는다.

 

해설 : 1회전=45321 2회전=34521 3회전=23451 4회전=12345

 

해설 : 관계해석이란 관계 데이터베이스 관리에서 관계를 조작하기 위한 비절차적인 방법의 하나로 튜플 관계해석과 도메인 관게 해석이 있다. 2번의 보기는 관계대수에 관한 설명으로 오답이다.(관계해석은 비절차적)

 

해설 : 인터럽트 발생 시 서비스 루틴의 분기 주소를 결정하는 방법은 '벡터 인터럽트' 이므로 4번

 

해설 :

 

해석 : 부동소수점 표현의 수들 사이의 곱셈 알고리즘 과정에서는 가수의 위치를 조정하지 않는다.

곱셈 연산 알고리즘 : 0인지 여부 조시 - 가수를 더함 - 가수를 곱함 - 결과를 정규화함

 

해석 : 관계, 논리, 산술 3가지 연산자가 혼합되어 나왔을때 연산 순서는 '산술 → 관계 → 논리' 순서이다.

 

해설 : '기억장치 용량 = 2^(워드의 수) x 워드의 길이'로 8K x 8 = 2^3 x 2^10 x 8 = 2^13 x 8
워드의 수 = 어드레드 선 = 13
워드의 길이 = 입출력선 = 8

 

해설 : Indirect(간접)단계는 fetch(인출)단계에서 해석된 명령의 주소부가 간접주소 인 경우에 수행되는 단계이다. 만약 직접 주소인 경우 바로 Execute(실행)단계를 거친다. 그러므로 옳은 답은 2번이다.

 

해설 : 시간 공간적 특성 차이에는 버스 구성이 포함되지 않는다.(동작의 속도, 착오 발생률, 정보의 단위, 동작의 자율성)

 

해설 : 실린더는 서로 다른 면들에 있는 위치의 트랙들의 모임으로 자기디스크 장치의 구성요소가 아님

 

해설 : 상대(relative) 주소 = 명령어의 주소 + PC 로 4번은 인덱스 레지스터의 주소 지정 방식이다.

 

해설 : 폴링 방법이 소프트웨어 적인 방법은 맞지만, 하드웨어 방법(데이지체인)에 비하여 인터럽트 반응 속도가 느리다.

 

해설 : 제어 장치의 순차 카운터는 디코더에 의해 선택된 번호에 해당하는 타이밍 신호를 생성한다.

 

해설 : Load 명령어는 기억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CPU로 가져오는 명령으로 자료 전달 명령어다.

 

해설 : 인터럽트 발생 시에만 인터럽트 사이클로 가게 되며, interrupt 사이클 이후에는 다시 fetch로 가게 된다.

 

해설 : 1001을 그레이 코드로 XOR연산(두개가 같으면 0, 하나라도 다르면 1)하면 1101이다.

 

해설 : 표준 패턴 처리 종류는 변환(Conversation), 병합(Merge), 갱신(Update), 분배(Distribute), 추출(Extract), 대조(Matching), 조합(Collate), 생성(Generate) 이 있으며 답은 3번이다.

 

해설 : 정보 투입 설계 시 검토사항은 투입 주기, 투입 장치, 투입 시 오류 검사, 입력 매체의 모양과 서식 등이 있다.

매체화 장치 결정은 입력 정보의 매체화에 대한 설계 검토사항이므로 답은 4번이다.

 

해설 : 파일 설계 순서는 파일 성격 검토 > 파일의 항목 검토 > 파일의 특성 조사 > 파일 매체의 검토> 편성법 검토이다.

 

해설 : 프로세스 차트를 기초로 하여 수행하고 계산 방법은 주변장치의 동작 시간 및 중앙 처리 장치의 동작 시간을 중심으로 계산하는 것은 입력에 의한 계산 방법이다.

 

해설 : 출력 정보 내용 설계 고려사항으로는 출력할 항목과 명칭, 배열 순서, 크기, 자릿수, 출력항목의 문자 표현 방법, 출력 항복에 대한 집계 방법, 오류 검사 방법으로 2번은 출력정보 매체화에 대한 설계임.

 

해설 : 자료의 정의 =, 자료의 연결 +, 자료의 선택 []. 자료의 반복 {}, 대체 항목의 나열 |, 자료의 설명 **, 자료의 생략 ()

 

해설 :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조를 이루는 기본 단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논리적 기능들을 수행하는 컴퓨터 지시어로

모듈은 서로 결헙되어 종속적으로 실행되지만, 각 모듈의 컴파일은 독립적으로 실행된다.

 

해설 : 폭포수 모델은 떨어진 물은 되돌아갈수 없음을 의미하여 하나의 과정이 끝나면 전단계로 넘어갈수 없는 선형 순차적인 방식으로 1번이 옳지 않다.

 

해설 : LFU(사용 빈도가 가장 적은 페이지), LRU(가장 최근에 사용하지 않은 페이지), FIFO(가장 오래된 페이지), SCR(FIFO 페이지 기법 보완)

 

해설 : HRN 공식 = (대기시간 + 서비스시간) / 서비스 시간으로 ㄱ=1, ㄴ=4, ㄷ=2 ㄹ=6 이므로 답은 ㄱ이다.

주의 : 계산값이 큰 것이 우선순위가 높은 것임.

 

해설 : 3페이지까지 들어갈수 있으니 123이 들어가고 최종적으로 남는건 4,1,3이므로 4번

 

해설 : 동일한 크기로 나누는 것은 '페이징 기법이며, 가변적인 크기로 나누는 것이 세그먼트 기법임.

 

해설 : SJF는 실행시간이 짧은 프로세스부터 먼저 처리하는 방식을 말한다.

 

해설 : SSTF방식은 헤드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트랙으로 이동하여 탐색거리가 가장 짧은 트랙을 먼저 보는 것으로 50과 제일 가까운 53이다.

 

해설 : 암호화, 코드변환은 표현계층인 프레젠테이션 계층이므로 2번이다. 

 

해설 : 수신 측이 비패킷형 단말기인 경우 'PAD'를 이용해 분할된 패킷을 조립한다.

 

해설 : 비동기 전송방식은 시작 비트, 정보 비트, 정지비트로 구성되어 있고 패리티비트를 추가하기도 한다. 그렇기 때문에 2번이 오답이다.

 

해설 : HDLC에는 표준정규응답(NRM), 비동기응답모드(ARM), 비동기 균형모드(ABM)이 있다.

 

해설 : 베어러 서비스는 단말기가 전송하는 정보를 변형 없이 그대로 전달만 하는 서비스로 회선교환이 답이다.

 

해설 : 데이터 전송 용량을 늘리기 위해서는 S/N비를 크게 해야한다.

 

해설 : IPv6는 128비트이므로 1번이 오답이다.

 

해설 : 단말장치(DTE)는 입출력, 전송제어, 기억 기능 3가지가 있으므로 1번이 오답이다.

 

해설 : 자동적으로 재전송을 요청하는 ARQ기법은 Continue ARQ 기법이다.

#250_이동 통신망

 - 무선 매체와 이동성을 전제로 하여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 어느 누구에게나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것

 - 통신의 내용에는 음성뿐만 아니라 신호, 데이터, 화상 정보 등을 모두 포함함

 - 다중 접속 방식

FDMA(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 주파수 대역을 일정 간격으로 분할해서 여러 사용자가 각기 주어지 주파수 대역에 채널을 설정하는 방식
TDMA(시분할 다중 접속) 방식 ㆍ주파수의 시간폭을 여러 개로 나누어서 각 시간폭에 대해 채널을 설정하는 방식
ㆍFDMA에 비해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3배 이상 가입자를 증가시킬 수 있음
CDMA(코드 분할 다중 접속) 방식 ㆍFDMA와 TDMA의 혼합 방식으로, 여러 사용자가 시간과 주파수를 공유하면서 서로 다른 코드를 부여한 신호를 확산하여 보내고 수신쪽에서는 동일한 코드로 확산된 데이터만을 골라 원래 신호로 재생하는 방식
ㆍ국내 디지털 셀룰러 시스템의 표준 방식
ㆍFDMA보다 가입자의 수용 용량이 10~20배가 넘음
ㆍ멀티미디어 서비스가 가능하게 함

 - 셀룰러 시스템 : 서비스 지역을 셀(Cell)이라고 하는 여러 개의 영역으로 나눈 후 각 셀마다 하나의 기지국을 설치하여 인접 셀 간에는 상호 간섭을 받지 않도록 하고, 어느 정도 떨어진 셀 간에는 동일 주파수 채널을 사용하도록 하는 방식

 - 셀룰러 시스템의 특징 : 주파수 재사용, 핸드 오프, 로밍 서비스

 - IMT-2000 : 현재 이동 통신의 문제점인 지역적 한계와 고속 전송에 대한 기술적 한계를 극복하고, 나라마다 달느 이동 통신 방식을 통일하여 한 대의 단말기로 전세계 어디서나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제 3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

 

#251_뉴 미디어(New Media)

 - 새로운 이란 뜻과 정보전달수단의 합성어로 최근의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로 새롭게 나타나게 되는 다양한 매체들을 의미

 - 쌍방향성, 탈대중화, 비동시성, 광대역성의 특징을 가짐

 - 유선계와 무선계로 분류

  ㆍ유선계 : CATV, 비디오텍스, VRS, 원격 회의, ARS, 텔레비전 전화, 팩시밀리 통신, 퍼스널 컴퓨터 통신, LAN, VAN, ISDN 등

  ㆍ무선계 : 위성통신, 텔레텍스트, HDTV, PCM 음성방송, 팩시밀리 방송, 개인 휴대 통신 등

  ㆍ독립계(패키지계) : 비디오 디스크, 디지털 오디오 디스크, VTR, 광디스크 등

 - 방송계와 통신계로 분류

  ㆍ방송계 : CATV, PCM 음성방송, 텔레텍스트, HDTV 등

  ㆍ통신계 : 원격 회의, 비디오텍스, 텔레텍스, VRS, 개인 휴대 통신, 퍼스널 컴퓨터 통신, LAN, VAN, ISDN 등

 - 중요 뉴 미디어

CATV ㆍ원래 난시청 해소를 목적으로 설치했던 공동시청 안테나를 이용하여 수신한 TV 신호를 일정한 전송로를 통하여 수용자에게 제공함
ㆍ양방향 통신이 가능하고 수용자의 범위가 한정적임
ㆍ다채널로서 방송뿐만 아니라 종합 정보 서비스가 가능
ㆍ전송로는 동축케이블이나 광섬유 케이블 사용
ㆍ기존 TV와 방송 방식이 동일하여 기존 TV를 단말 장치로 사용할 수 있음
비디오텍스 ㆍ각종 정보를 모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전화망을 통해 TV나 단말 장치에 접속하여 필요한 정보를 문자나 그림의 형태로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ㆍ정보 검색, 거래 처리, 메세지 전달, 예약 업무, 원격 감시 서비스 등을 함
ㆍ대화형 양방향 미디어로서, 요구하는 정보를 즉시 제공받을 수 있음
ㆍ문자 및 도형 정보의 표현 형식 : 모자이크 방식, 지오메트릭 방식, 포토 그래픽 방식 등
HDTV ㆍ기존의 TV 주사선을 늘리고 주파수 대역폭을 확대하여 선명한 화상과 양질의 음성 제공 TV
ㆍ위성 TV 방송, TV 회의 등의 새로운 매체의 단말 장치로 사용
텔레텍스트 ㆍTV 전파의 빈틈을 이용하여 TV 방송과 함께 문자나 도형 정보를 제공하는 문자 다중 방송
ㆍ일기 예보, 프로그램 안내나 방송되는 프로 세부설명, 교통 안내 등 방송국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일방적으로 수신하는 형태
텔레텍스 ㆍ워드프로세서 전용기와 같이 문서작성과 편집기능을 갖는 기기에 통신기능을 부가하여 공중 전화망이나 공중 데이터망을 통해서 문서를 교환하는 시스템
ㆍ문서를 작성중이거나 부재중에도 수신 가능
텔렉스 ㆍ문자, 숫자 및 기호 등의 정보를 텔렉스 교환기를 사용해서 전송하는 시스템
ㆍ최초의 문자 전송 시스템으로 가입 전신이라고도함
ㆍ사용자 부재중에도 통신이 가능하며, 사용하는 문자 수에 제한이 있음

 

#252_멀티미디어(Multimedia)

 - 다중 매체(정보 전달 수단)를 의미하는 것으로, 텍스트, 그래픽, 사운드, 동영상, 애니메이션 등의 다양한 매체를 디지털 데이터로 통합하여 전달함

 - 특징 : 디지털화, 쌍방향성, 비선형성, 정보의 통합성

 - 정지 영상 압축 표준

  ㆍJPEG : 정지 영상 압축의 국제 표준 방식

  ㆍ허프만 압축 기법 : 압축하려는 정보 내의 각 문자에 대한 발생 빈도를 조사해 자주 나타나는 문자에는 짧은 부호를, 잘 나타나지 않는 문자에는 긴 부호를 할당하는 방식

  ㆍLZW 압축 기법 : 연속된 문자열을 특수한 코드로 변환하여 표를 만들고, 그 다음에 그 문자열이 나타나면 이표의 코드로 해당 문자열을 변환하여 압축하는 방식

 - 동영상 압축 표준

AVI Windows의 표준 동영상 파일 형식
DVI 디지털 TV를 위한 압축 기술이었지만. Intel 사에 의해 멀티미디어 분야의 동영상 압축 기술로 발전
퀵 타임 Apple 사가 개발한 동영상 압축 기술
MPEG ㆍ동영상 압축을 위한 국제 표준 규격
ㆍMPEG-1 : CD-ROM과 같이 전송 속도가 약 1.5Mbps인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CD-1이나 비디오 CD등이 이 규격을 따르고 있음
ㆍMPEG-2 : 차세대 텔레비전 방송이나 ISDN, 케이블 망 등을 이용한 영상 전송을 위하여 제정되었으며, HDTV, 위성방송 DVD등이 이 규격을 따르고 있음
ㆍMPEG-4 : 통신, PC, 방송 등을 결합하는 복합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통합 표준을 위한 것으로, 공중망이나 무선 이동통신 등을 대상으로 하며, 특히 IMT-2000 환경에서 영상 정보 압축 전송시 필수적인 요소
ㆍMPEG-21 : 위의 MPEG 기술들을 통합해 디지털 컨텐츠 제작, 유통, 보안 등 전과정을 관리할 수 있는 기술
H.261 영상 전화 및 영상 회의용 터미널에 내장되는 동영상 압축 표준 규격

 - 오디오 압축 기술

WAVE ㆍ사운드의 원음을 샘플링하여 저장한 형식
ㆍ실제 소리를 저장하므로 재생이 쉽지만 용량이 큼
MDI ㆍ전자 악기간 또는 컴퓨터와 전자 악기간의 디지털 통신을 위한 규약
ㆍMDI 파일은 음성이나 효과음의 저장이 불가능하고, 연주 정보만 들어있으므로 크기가 작음
MP3 ㆍ고음질 오디오 압축의 표준 형식
ㆍMPEG에서 규정한 MPED-1 압축 기술을 이용하여 음반 CD 수준의 음질을 유지하면서 용량을 1/12크기로까지 압축 가능

#239_경로 제어(Routing)

 - 송수신측 간의 송신 경로 중에서 최적 패킷 교환 경로를 설정하는 기능

 - 경로 설정 요소 : 성능 기준, 경로의 결정 시간과 장소, 정보 발생지, 경로 정보의 갱신 기간

 - 경로 설정 프로토콜

  ㆍ자율 시스템(AS) 내의 라우팅 프로토콜 : IGP, RIP, ISPF

  ㆍ자율 시스템(AS) 간의 라우팅 프로토콜 : EGP, BGP

 - 경로 설정 방식

  ㆍ고정 경로 제어 = 착국 부호 방식 : 네트워크 내의 모든 쌍에 대해서 경로를 미리 정해 놓는 방식

  ㆍ적응 경로 제어(Adaptive Routing) : 전송 경로를 동적으로 결정하는 방식

  ㆍ범람 경로 제어(Flooding) : 네트워크 정보를 요구하지 않고, 송수신측 사이에 존재하는 모든 경로로 패킷 전송

  ㆍ임의 경로 제어(Random Routing) : 인접하는 교환기 중 하나를 임의로 선택하여 전송하는 방식

 

#240_LAN(근거리 통신망)

 - 광대역 통신망과 달리 한 건물이나 일정 지역내에 컴퓨터나 단말기들을 고속 전송 회선으로 연결하여 프로그램 파일 또는 주변 장치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한 네트워크

 - 단일 기관의 소유, 제한된 지역 내의 통신임

 - 광대역 전송 매체의 사용으로 고속 통신 가능

 - 경로 선택이 필요 없고, 오류 발생률이 낮음

 - 전송 매체로 꼬임선,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등을 사용

 -망의 구성 형태에 따라서 스타형, 버스형, 링형, 트리형으로 분류

 - 물리 계층과 데이터 링크 계층으로 나뉨

  ㆍ물리 계층 : OSI 7계층의 물리 계층과 동일

  ㆍ데이터 링크 계층 : 매체 접근 제어(MAC) 계층과 논리 링크 제어(LLC) 계층으로 나뉨`

 

#241_CSMA/CD 방식

 - 통신 회선이 사용 중이면 일정 시간동안 대기하고, 통신 회선 상에 데이터가 없을 때에만 데이터를 송신하며, 송신 중에도 전송로의 상태를 계속 검사함

 - 버스형 또는 성형 LAN에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

 - IEEE 802.3의 표준 규약임

 - 일정 길이 이하의 데이터를 송신할 경우 충돌을 검출할 수 없음

 - 전송량이 적을때 매우 효율적이고 신뢰성이 높음

 - 전송량이 많아지면 채널의 이용률이 떨어지고 전송 지연 시간이 급격히 증가함

 - 충돌 발생 시 다른 노드에서는 데이터를 전송할 수 없으며, 지연 시간을 예측하기 어려움

 

#242_네트워크 관련 장비

 - 허브(Hub) : 한 사무실이나 가까운 거리의 컴퓨터들을 연결하는 장치로, 각 회선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며, 신호 증폭 기능을 하는 리피터의 역할도 포함

 - 리피터 : 물리 계층 장비로 전송되는 신호를 재생해줌

 - 브리지 : 데이터 링크 계층의 장비로, LAN과 LAN을 연결하거나 LAN 안에서의 컴퓨터 그룹을 연결

 - 라우터 : 네트워크 계층 장비로, LAN과 LAN을 연결 및 경로 선택, 서로 다른 LAN이나 LAN과 WAN을 연결

 - 게이트웨이 : 프로토콜 구조가 전혀 다른 네트워크의 연결을 수행하는 장비로, 세션 계층, 표현 계층, 응용 계층간을 연결하여 데이터 형식 변환, 주소 변환, 프로토콜 변환 등을 수행

 

#243_VAN(부가 가치 통신망)

 - 공중 통신 사업자로부터 통신 회선을 임대하여 하나의 사설망을 구축하고 이를 통해 정보의 축척, 가공, 변환 처리 등 첨가한 후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망

 - 계층 구조 : 정보 처리 계층, 통신 처리 계층, 네트워크 계층, 기본 통신 계층

 - 기능 : 전송 기능, 교환 기능, 통신처리 기능, 정보처리 기능

 - 통신 처리 기능은 축척 교환 기능과 변환 기능으로 나뉨

  ㆍ축척 교환 기능 : 전자 사서함, 데이터 교환, 동보 통신, 정시 수집, 정시 배달

  ㆍ변환 기능 : 속도 변환, 프로토콜 변환, 코드 변환, 데이터 형식 변환, 미디어 변환

 

#244_ISDN(종합 정보 통신망)

 - 음성, 문자, 화상 등의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하나의 디지털 통신망을 근간으로 종합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통합한 것

 - 통신 방식 및 전송로가 모두 디지털 방식임

 - 단일 통신망으로 음성, 데이터, 영상 등의 다양한 서비스 제공

 - 고속 통신이 가능하며, 확장성과 재배치성이 좋음

 - 64Kbps 1회선 교환 서비스를 기본으로 함

 - ISDN의 통신 서비스

베어러 서비스 ㆍ단말기가 전송하는 정보를 변형 없이 그대로 전달만 하는 서비스
ㆍ회선 교환, 패킷 교환 등 하위 계층의 기능만을 제공
텔레 서비스 ㆍ베어러 서비스를 기본으로 고도의 기능을 부가하여 제공하는 서비스
ㆍ실제로 단말을 조작하고 통신하는 이용자 측에서 본 서비스
ㆍ상위 계층의 전화, 팩스, 텔레텍스, 비디오텍스, 텔렉스, 원격 회의 등의 서비스와 하위 계층의 정보 전송, 엑세스 서비스 등을 모두 제공
부가 서비스 베어러 서비스나 텔레 서비스에 발신 번호 표시, 수신자 부담, 통화 대기 등의 기능을 부가하여 서비스의 이용룰을 높이는 서비스

 

#245_ISDN의 구조

 - 주요 채널의 종류

채널 채널 속도 용도B
B 64Kbps ㆍ디지털 정보용 채널
ㆍ사용자의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채널
ㆍPCM화된 디지털 음성이나 회선 교환에 의한 제어 신호, 패킷 교환에 의한 정보의 전송에 이용
 
D 16Kbps
64Kbps
ㆍ디지털 신호용 채널
ㆍ16Kbps 이하 저속의 패킷 교환에 의한 정보 전송을 위해 이용
H0 384Kbps 고속의 디지털 정보용 채널
H11 1,536Kbps
H12 1,920Kbps

 - 기본 속도 인터페이스(BRI) :  2B + D + 오버헤드 = 2 x 64 + 16 +48 = 192Kbps

 

#246_ISDN의 기능 그룹과 참조점

 - 망 종단 장치(NT) : 망 관련 장비

 - 터미널 장비(TE) : 사용자 관련 장비

NT1 ㆍ가입자 접속망 종단 장치, 선로의 종단점
ㆍ1계층 선로 유지 보수 및 성능 감시, 다중화
ㆍ비트 동기(Timing)
NT2 ㆍ가입자 구내 교환 장치
ㆍ2~3계층의 프로토콜 처리 및 다중화
ㆍ교환, 집중화, 유지 보수 기능
TE1 ISDN 접속 기능을 가진 단말기
TE2 ISDN 접속 기능이 없는 단말기
TA ㆍTE2 단말기를 ISDN에 접속하는 역할
ㆍ프로토콜 및 속도 변환 기능
LE 상대방 ISDN 교환기와 연결의 제공하는 ISDN용 교환기

 - 참조점 : ISDN을 구성하는 각 요소 간의 인터페이스를 구분하는 기능을 말하는 것으로, 기준점, 접속점, 분계점이라고도 함. 정보 통신망 상호간을 연결할 때 시설, 운영 및 유지 보수의 책임 한계를 구분하기 위한 접속점이 됨

 

#247_인터넷(Internet)

 - TCP/I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여 전세계 수많은 컴퓨터와 네트워크들이 연결된 광범위한 컴퓨터 통신망

 - ARPANET에서 시작되었으며, 유닉스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함

 -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컴퓨터는 고유한 IP 주소를 가짐

 - 컴퓨터 또는 네트워크를 서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브리지, 라우터, 게이트웨이가 사용됨

 - 인터넷 서비스 : TCP/IP의 응용 계층에서 제공

WWW ㆍ텍스트, 그림, 동영상, 음성 등 인터넷에 존재하는 다양한 정보를 거미줄처럼 연결해놓은 종합 정보 서비스
ㆍ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하이퍼텍스트 기반으로 되어있음
전자우편 ㆍ인터넷을 통해 다른 사람과 편지뿐만 아니라 그림, 동영상 등 다양한 형식의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해주는 서비스
ㆍ프로토콜 : SMTP, POP3, MIME
FTP 컴퓨터와 컴퓨터 또는 컴퓨터와 인터넷 사이에서 파일을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원격 파일 전송 프로토콜
Telnet ㆍ멀리 떨어져 있는 컴퓨터에 접속하여 자신의 컴퓨터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서비스
ㆍ프로그램을 수행하는 등 시스템 관리 작업을 할 수 있는 가상의 터미널 기능을 수행
Usernet 분야별로 공통의 관심사를 가진 인터넷 사용자들이 서로의 의견을 주고받을수 있게 하는 서비스

 

#248_인터넷의 주소 체계

 - IP 주소 :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컴퓨터의 자원을 구분하기 위한 고유한 주소로, 숫자로 8비트씩 4부분, 총 32비트로 구성되며 A~E클래스까지 총 5단계로 나뉘어짐

 - 서브넷 마스크 : 4바이트의 IP 주소 중에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를 구분하기 위한 비트

 - IPv6 : IPv4의 주소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16비트씩 8부분, 총 128비트로 구성되며, 각 부분은 16진수로 표현하고 콜론으로 구분함

 - 도메인 네임 : 숫자로 된 IP주소를 문자 형태로 표현한 것으로 호스트 컴퓨터명, 소속 기관 이름, 소속 기관 종류, 소속 국가명 순으로 구성

 - DNS : 문자로 된 도메인 네임을 IP주소로 변환

 

#249_위성 통신

 - 지상에서 쏘아 올린 마이크로 주파수를 통신 위성을 통해 변환, 증폭한 후 다른 주파수로 지상에 송신하는 방식

 - 위성 통신에 사용하고 있는 주파수 대역은 3~30GHz의 극초단파(SHF)임

 - 통신 위성은 약 35,800km 정도의 정지 궤도상에 위치하여 지구의 자전 속도로 운행

 - 한 대의 통신 위성은 지구 표현의 약 42.4% 지역을 커버할 수 있으므로 이론상 최소한 3개의 정지 위성만 있으면 극 지역을 제외한 지구상의 어느 지점과도 통신이 가능

 - 대역폭이 넓어 고속 대용량 통신이 가능하고, 통신 비용이 저렴

 - 오류율이 적어 고품질의 정보 전송 가능

 - 통신 범위가 넓으며, 전송 비용이 거리에 무관하게 일정

 - 전송 지연 시간이 길며, 보안성이 취약

 - 위성 통신 시스템은 통신 위성, 지구 국, 채널로 구성됨

#227_통신 프로토콜

 - 정의 : 서로 다른 기기들 간의 데이터 교환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표준화 시켜놓은 통신 규약

 - 기본 요소 : 구문(Syntax), 의미(Semantics), 시간(Timing)

 - 기능 : 단편화, 재결합, 캡슐화, 흐름 제어, 오류 제어, 동기화, 순서 제어, 주소 지정, 다중화, 경로 제어, 전송 서비스(우선 순위, 서비스 등급, 보안성)

 - 캡슐화 할 때 제어 정보에 포함되는 것 : 송수신지 주소, 오류 검출 코드, 프로토콜 제어 정보

 

#228_흐름 제어(Flow Control)

 - 통신망 내의 원활한 흐름을 위해 송수신측 사이에 전송되는 패킷의 양이나 속도를 규제하는 기능

 - 정지-대기(Stop-and-Wait)

  ㆍ수신측의 확인(ACK) 신호를 받은 후에 다음 패킷을 전송하는 방식

  ㆍ한번에 하나의 패킷만 전송할 수 있음

 - 슬라이딩 윈도우

  ㆍ수신측의 확인 신호를 받지 않더라도 미리 정해진 패키의 수만큼 연속적으로 전송하는 방식

  ㆍ한번에 여러 개의 패킷을 전송할 수 있어 전송 효율이 좋음

  ㆍ윈도우 크기  ; 수신 측의 확인 신호 없이도 전송할 수 있는 패킷의 개수로, 상황에 따라 변함

 

#229_OSI 참초 모델

 - 다른 시스템 간의 원활한 통신을 위해 ISO(국제 표준화 기구)에서 제안한 통신 규악

 - OSI 7계층 : 하위 계층(물리, 데이터링크, 네트워크), 상위 계층(전송, 세션, 표현, 응용)

 - 물리 계층 : 전송에 필요한 두 장치 간의 실제 접속과 절단 등 기계적, 전기적, 기능적, 절차적 특성을 정의

 - 데이터 링크 계층

  ㆍ두개의 인접하나 개방 시스템들 간에 신뢰성 있고 효율적인 정보 전송을 할 수 있도록 함

  ㆍ흐름 제어, 프레임 동기, 오류 제어, 순서 제어

 - 네트워크 계층

  ㆍ개방 시스템들 간의 네트워크 연결 관리, 데이터의 교환 및 중계

  ㆍ경로 설정(라우팅), 트래픽 제어, 패킷 정보 전송

 - 전송 계층

  ㆍ종단 시스템간에 투명한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함

  ㆍ전송 연결 설정, 데이터 전송, 전송 연결 해제 가능

  ㆍ주소 설정, 다중화, 에러 제어, 흐름 제어

 - 세션 계층

  ㆍ송수신측 간의 관련성을 유지하고 대화 제어를 담당

  ㆍ대화 구성 및 동기 제어, 데이터 교환 관리 기능

  ㆍ체크점 : 오류가 있는 데이터의 회복을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소동기점과 대동기점이 있음

 - 표현 계층

  ㆍ응용 계층으로부터 받은 데이터를 세션 계층에 맞게, 세션 계층에서 받은 데이터는 응용 계층에 맞게 변환하는 기능

  ㆍ코드 변환, 데이터 암호화, 데이터 압축, 구문 검색, 정보 형식 변환, 문맥 관리 기능

 - 응용 계층

  ㆍ사용자(응용 프로그램)가 OSI 환경에 접근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

 

#230_X.25

 - 패킷 교환망을 통한 DCE와 DTE 간의 인터페이스 제공

 - ITU-T에서 제정한 국제 표준 프로토콜로, 우수한 호환성을 가짐

 - 신뢰성과 효율성이 높고, 전송 품질이 우수

 - X.25의 계층 구조 : 물리 계층, 프레임 계층, 패킷 계층

 - LAPB : HDLC의 원리를 이용한 비트 중심의 프로토콜로, X.25의 2계층에서 사용

 - 프레임 릴레이 : 기존의 X.25가 갖는 오버 헤드를 제거하여 고속 데이터 통신에 적합하도록 개선한 프로토콜

 - 패킷 교환을 위한 수행 절차 : 호 설정 → 데이터 전송 → 호 해제

 

#231_TCP/IP

 - UNIX의 기본 프로토콜로 사용되었고, 현재 인터넷 표준 프로토콜임

 - TCP/IP의 계층

  ㆍ응용 계층 : 응용 프로그램 간의 데이터 송수신 제공하며 TELNET, FTP, SMTP, HTTP 등이 있음

  ㆍ전송 계층 : 호스트들 간의 신뢰성 있는 통신 제공하며 TCP, UDP 가 있음

  ㆍ인터넷 계층 : 데이터 전송을 위한 주소지정, 경로 설정을 담당하며 IP. ICMP, IGMP, ARP, RARP 등이 있음

  ㆍ링크 계층 : 실제 데이터(프레임)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하며 이더넷, IEEE 802, HDLC, X.25 RS-232C 등이 있음

 - 주요 프로토콜

TCP ㆍOSI 7계층의 전송 계층에 해당
ㆍ신뢰성 있는 연결형 서비스 제공
ㆍ패킷의 다중화, 재순서화, 오류 제어, 흐름 제어 기능
IP ㆍOSI 7계층의 네트워크 계층에 해당
ㆍ데이터그램을 기반으로 하는 비연결형 서비스 제공
ㆍ패킷의 분해/조립, 주소 지정, 경로 선택 기능
ICMP IP와 조합하여 통신 중에 발생하는 ㅇ오올오류의 처리와 전송 경로 변경 등을 위한 제어 메세지를 관리하는 역할을 함
ARP 호스트의 IP 주소를 호스트와 연결된 네트워크 접속 장치의 물리적 주소(MAC) 으로 변환
RARP 물리적 주소를 IP주소로 변환

#232_표준안 제정 기관

 - 국제 표준화 기구(ISO), 국제전기통신연합(ITU), 국제전기표준협회(IEC), 미국표준기구(ANSI), 전자공업협회(EIA), 전기전자기술자협회(IEEE)가 있음

 - 주요 ITU-T 권고 시리즈

  ㆍI 시리즈 : ISDN에 관한 권고

  ㆍX 시리즈 : 공중 데이터망(PSDN)을 통한 데이터 전송에 관한 권고

  ㆍY 시리즈 : 공중 전화망(PSTN)을 통한 데이터 전송에 관한 권고 

  ㆍT 시리즈 : 텔레마틱 서비스를 위한 단말 장치와 프로토콜에 관한 권고

 

#233_망(Network)의 구성 형태

 - 성형(Star, =중앙 집중형)

  ㆍ중앙에 중앙 컴퓨터가 있고, 이를 중심으로 단말기들이 연결되는 중앙 집중식의 네트워크 구성 형태

  ㆍ단말기의 추가와 제거가 쉽고 교환 노드의 수가 가장 적음

 - 링형(Ring, =루프형)

  ㆍ컴퓨터와 단말기들을 서로 이웃하는 것끼리 포인트 투 포인트 방식으로 연결시킨 형태

  ㆍ데이터는 단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단방향 링의 경우 컴퓨터, 단말기, 통신 회선 중 어느 하나라도 고장나면 전체 통신망에 영항을 미침

 - 계층형(Tree, =분산형)

  ㆍ중앙 컴퓨터와 일정 지역의 단말기까지는 하나의 통신 회선으로 연결시키고, 이웃하는 단말기는 일정 지역 내에 설치된 중간 단말기로부터 다시 연결시키는 형태

  ㆍ분산 처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방식임

 - 망형(Mesh)

  ㆍ모든 지점의 컴퓨터와 단말기를 서로 연결한 형태로, 노드의 연결성이 높음

  ㆍ많은 단말기로부터 많은 양의 통신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 유리

  ㆍ공중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며, 통신 회선의 총 경로가 가장 김

  ㆍ통신 회선 장애 시 다른 경로를 통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음

  ㆍ모든 노드를 망형으로 연결할 때 필요한 회선 수(노드 = n) : n(n-1)/2

 

#234_전용 회선/교환 회선

 - 전용 회선

  ㆍ송수신 상호간에 통신 회선이 항상 고정되어 있는 방식

  ㆍ전송 속도가 빠르고, 전송 오류가 적음

  ㆍ사용 방법이 간편하며 업무 적용이 쉬움

  ㆍ전송할 데이터의 양이 많고, 회선의 사용 시간이 많을 때 효율적임

  ㆍ고장 발생시 유지보수 유리

 - 교환 회선

  ㆍ교환기에 의해서 송수신 상호간 통신 회선이 연결되는 방식

  ㆍ전용 회선에 비해 전송 속도(4800bps 이하)가 느림

  ㆍ정보보안을 위해 정보 누설과 파괴를 방지하는 조치가 필요함

  ㆍ회선을 공유하므로 효용도가 높고, 통신 장치와 회선 비용을 줄일 수 있음

  ㆍ전송할 데이터의 양이 많지 않고, 회선 사용 시간이 적을 떄 효율적

  ㆍ교환 기술의 성능 비교 요소 : 전파 지연, 전송 시간, 노드 지연, 데이터 처리율

 

#235_회선 교환 방식

 - 통신을 원하는 두 지점을 교환기를 이용하여 물리적으로 접속시키는 방식

 - 데이터 전송 전에 먼저 통신망을 통한 연결 필요

 - 접속이 되고 나면 그 통신 회선은 전용 회선에 의한 통신처럼 전달됨(고정 대역 전송)

 - 접속에는 긴 시간이 소요되나, 일단 접속되면 전송 지연이 거의 없어 실시간 전송 가능

 -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전체 시간이 축척 교환 방식에 비해 김

 - 통신 과정 : 호(링크) 설정 - 데이터 전송 - 호(링크) 해제

 - 공간 분할 교환 방식과 시간 분할 교환 방식으로 나눠며, 시분할 교환 방식에는 TDM 버스 교환 방식, 타임 슬롯 교환 방식, 시간 다중화 교환 방식이 있음

 - 제어 신호 방식

  ㆍ감시(관리) 제어 신호 : 상대방과 통화하는데 필요한 자원을 이용할 수 있는지를 결정하고 알리는데 사용하며 서비스 요청, 응답, 경보 및 휴지상태 복귀 신호 등의 기능을 제공

  ㆍ주소 제어 신호 : 상대방을 식별하고 경로를 배정하여 전화를 울리게 하는 데 사용

  ㆍ호 정보 제어 신호 : 신호음, 연결음, 통화중 신호음 등 호의 상태 정보를 송신자에게 제공

  ㆍ망 관리 제어 신호 : 통신망의 전체적인 운영, 유지, 고장 수리 등을 위해 사용

 

#236_축척 교환 방식

 - 송신측에서 전송한 데이터를 송신 측 교환기에 저장했다가 이를 다시 적절한 토신 경로를 선택하여 수신측 터미널에 전송하는 방식

 - 메세지 교환 방식

  ㆍ교환기가 일단 송신측의 메세지를 받아서 저장한 후 전송 순서가 되면 수신 측으로 전송

  ㆍ전송 메세지는 추후 검색 가능

  ㆍ전송 지연 시간이 매우 김

  ㆍ응답 시간이 느려 대화형 데이터 전송에 부적절

 - 패킷 교환 방식

  ㆍ메세지를 일정한 길이의 패킷으로 잘라서 전송

  ㆍ회선 이용률이 높음

  ㆍ수신측에서 분할된 패킷을 재조립 해야됨

  ㆍ응답시간이 빠르므로, 대화형 응용이 가능

  ㆍ음성 전송보다 데이터 전송에 적합

  ㆍ패킷 : 전송 혹은 다중화를 목적으로, 메세지를 이렂ㅇ한 비트 수로 분할하여 송수신측 주소와 제어 정보 등을 부가하여 만든 데이터 블록

 

#237_패킷 교환 방식의 종류

 - 가상 회선 방식

  ㆍ단말기 상호간에 논리적인 가상 통신 회선을 미리 설정하여 송신지와 수신지 사이의 연결을 확립한 후에 설정된 경로를 따라 패킷들을 순서적으로 운반하는 형식

  ㆍ컴퓨터 사이의 데이터 전송의 안정, 신뢰성이 보장

  ㆍ패킷의 송수신 순서가 같음

  ㆍ통신 과정 : 호 설정 - 데이터 전송 - 호 해제

 - 데이터그램 형식

  ㆍ 연결 경로를 설정하지 않고 인접한 노드들의 트래픽 상활을 감안하여 각각의 패킷들을 순서에 상관없이 독립적으로 운반하는 방식

  ㆍ패킷마다 전송 경로가 다르며 송수신 순서가 다를수 있음

 

#238_패킷 교환망의 기능

 - 패킷 다중화 : 동시에 다수가 상대 터미널과 통신을 수행하도록 하는 기능

 - 경로 제어(라우팅) : 가장 효율적인 전송로를 선택하는 기능

 - 논리 채널 : 송수신측 단말기 사이에서 논리 채널(가상 회선)을 설정하는 기능

 - 순서 제어 : 패킷의 송수신 순서를 제어하는 기능

 - 트래픽 제어 : 전송되는 패킷의 흐름 또는 그 양을 조절하기 위해 교착상태의 방지, 흐름제어 등을 수행

 - 오류 제어 : 오류를 검출하고 정정하는 기능

#216_비동기식 전송

 - 한 문자를 나타내는 부호(문자 코드) 앞에 Start Bit와 Stop Bit를 붙여 Byte와 Byte를 구별하여 전송 하는 방식

 - 시작 비트, 전송 문자, 정지 비트로 구성된 한 문자를 단위로 하여 전송하며, 오류 검출을 위한 패리티 비트(Parity Bit)를 추가하기도 함

 - 문자와 문자 사이의 휴지 시산이 불규칙함

 - 2000bps 이하의 단거리 전송에 사용

 - 문자마다 시작, 정지를 알리기 위한 비트가 2~3bit씩 추가되므로 전송 효율이 떨어짐

 

#217_동기식 전송

 - 미리 정해진 수 만큼의 문자열을 한 블록(프레임)으로 만들어 일시에 전송하는 방식

 - 프레임 단위로 전송하므로 전송 속도가 빠름

 - 프레임(Frame) : 전송할 자료를 일정한 크기로 분리한 것으로, 데이터뿐만 아니라 행선지 코드, 동기를 위한 제어 문자, 오류 검출을 위한 패리티나 CRC 등의 추가 정보를 포함함

 - 시작/종료 비트로 인한 오버헤드가 없고, 휴지시간이 없으므로 전송 효율이 좋음

 - 주로 원거리 전송에 사용

 - 단말기는 반드시 버퍼 기억 장치를 내장하여야 함

 - 비트 동기 방식과 블록 동기 방식이 있으며, 블록 동기 방식은 문자 동기 방식과 비트 동기 방식으로 나뉨

  ㆍ문자 동기 방식 : SYN 등의 동기 문자(전송 제어 문자)에 의해 동기를 맞추는 방식으로 BSC 프로토콜에서 사용함

  ㆍ비트 동기 방식 : 데이터 블록의 처음과 끝이 8비트의 플래그 비트(01111110)를 표시하여 동기를 맞추는 방식으로 HDLC, SDLC 프로토콜에서 사용됨

 

#218_회선 구성 방식

 - 포인트 투 포인트(Point-to-Point)

  ㆍ중앙 컴퓨터와 단말기를 일대일 독립적으로 연결하는 방식

  ㆍ통신망을 성형(star)으로 구성할 떄 사용

 - 멀티 드롭(Multi-drop) = 멀티 포인트

  ㆍ여러 대의 단말기들을 한 개의 통신 회선에 연결하는 방식

  ㆍ단말기는 주소 판단 기능과 버퍼를 가지고 있어야 함

  ㆍ회선 공유로 효용도가 높고, 가격도 저럼

  ㆍ선로의 속도, 단말기에 의해 생기는 교통량,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처리 능력에 따라 연결할 수 있는 단말기의 수가 달라짐

  ㆍ통신망을 버스형으로 구성할 떄 사용

 - 회선 다중 방식(Line Multiplexing)

  ㆍ여러 대의 단말기들을 다중화 장치를 이용하여 중앙 컴퓨터와 연결하는 방식

  ㆍ중앙 컴퓨터와 다중화 장치 사이를 대용량 회선으로 연결하여 전송속도 및 효율을 높임

 

#219_회선 제어 방식

 - 경쟁(Contention) 방식

  ㆍ회선 접속을 위해서 서로 경쟁하는 방식

  ㆍ데이터링크가 설정되면 정보 전송이 종료되기 전까지는 독점적으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음

  ㆍ대표적인 시스템으로는 ALOHA가 있음

 - 폴링/셀렉션 방식

  ㆍ컴퓨터에서 송수신 제어권을 가지고 있는 방식

  ㆍ폴링(Poling) : 컴퓨터에서 단말기에게 전송할 데이터가 있는지를 물어 전송할 데이터가 있다면 전송을 허가하는 방식으로 단말기에서 컴퓨터로 보낼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 사용함

  ㆍ셀렉션(Selection) : 컴퓨터가 단말기로 전송할 데이터가 있는 경우 그 단말기가 받을 준비가 되었는가를 묻고 준비가 되어 있다면 컴퓨터에서 단말기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

 

#220_전송 제어의 기본

 - 전송 제어 : 데이터의 원활한 흐름을 위하여 입출력 제어, 회선 제어, 동기 제어, 오류 제어, 흐름 제어 등을 수행하는 것

 - OSI 7계층의 데이터 링크 계층(2계층)에서 수행하는 기능

 - 전송 제어 절차 : 데이터 통신 회선의 접속 → 데이터 링크 설정(확립) → 정보 메세지 전송 → 데이터 링크 종결 → 데이터 통신 회선의 절단

  ㆍ데이터 통신 회선 접속 : 통신 회선과 단말기를 물리적으로 접속

  ㆍ데이터 링크 설정(확립) : 송수신측 간의 논리적 경로 구성

  ㆍ정보 메세지 전송 : 설정된 데이터 링크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측에 전송하며 오류 제어와 순서 제어를 수행

  ㆍ데이터 링크 종결 : 송수신측 간의 논리저 경로를 해제

  ㆍ데이터 통신 회선의 절단 : 통신 회선과 단말기 간의 물리적 접속을 절단

 

#221_BSC

 - 문자 위주의 프로토콜로, 각 프레임에 전송 제어 문자를 삽입하여 전송을 제어

 - 문자 코드에 의존적이며, 사용할 수 있는 코드가 제한적임

 - 통신하는 컴퓨터들이 사용하는 문자 코드 체계가 통일되어 있어야함

 - 반이중 전송만 지원

 - 주로 동기 전송을 사용하나 비동기 진송 방식을 사용하기도 함

 - 포인트 투 포인트, 멀티 포인트 방식에서 주로 사용

 - 에러 및 흐름 제어를 위해 Stop-and-Wait ARQ를 사용

 - 오류 검출이 어렵고, 전송 효율이 나쁨

 - 프레임 구조

SYN SYN SOH 헤더 STX 본문 EXT/ETB BCC

 - 전송 제어 문자 : 링크 관리, 프레임의 시작 및 끝의 구별과 에러 제어 등의 기능을 함

  ㆍSYN : 문자 동기

  ㆍSOH : 헤드의 시작

  ㆍSTX : 본문의 시작 및 헤드의 종료

  ㆍETX : 본문의 종료

  ㆍETB : 블록의 종류

  ㆍEOT : 전송 종료 및 데이터 링크의 해제

  ㆍENQ : 상대편에 데이터 링크 설정 및 응답 요구

  ㆍDLE : 전송 제어 문자 앞에 삽입하여 전송 제어 문자임을 알림(데이터 투과성을 위해 삽입)

  ㆍACK : 긍정 응답

  ㆍNAK : 부정 응답

 

#222_HDLC

 - 비트 위주의 프로토콜로 각 프레임에 데이터 흐름을 제어하고 오류를 보정할 수 있는 비트 열을 삽입하여 전송

 - 포인트 투 포인트 및 멀티 포인트, 루프 방식에서 모두 사용 가능

 - 단방향, 반이중, 전이중 통신을 모두 지원하며 동기식 전송 방식을 사용함

 - 에러 제어를 위해 GO-Back-N과 선택적 재전송 ARQ를 사용

 - 흐름 제어를 위해 슬라이딩 윈도우 방식을 사용

 - 전송 제어상의 제한을 받지 않고 자유로이 비트 정보를 전송할 수 있음(비트 투과성)

 - 전송 효율과 신뢰성이 높음

 - HDLC 프레임 구조

플래그 주소부 제어부 정보부 FCS 플래그

 - 플래그(Flag) : 프레임의 시작과 끝을 나타내는 고유한 비트 패턴(01111110)으로 프레임의 시작과 끝을 구분, 동기 유지, 비트 투과성을 이용한 기본적인 오류 검출 등의 기능을 함

 - FCS(프레임 검사 순서 필드) : 프레임 내용에 대한 오류 검출을 위해 사용되는 부분으로, 일반적으로 CRC 코드가 사용

 - HDLC의 프레임 종류

  ㆍ정보(I) 프레임 : 제어부가 '0'으로 시작하는 프레임으로 사용자 데이터를 전달하는 역할

  ㆍ감독(S) 프레임 : 제어부가 '10'으로 시작하는 프레임으로 오류 제어와 흐름 제어를 위해 사용

  ㆍ비번호(U) 프레임 : 제어부가 '11'으로 시작하는 프레임으로 링크의 동작 모드 설정과 관리를 함

 - HDLC의 데이터 전송 모드

표준(정규) 응답 모드(NRM) ㆍ반이중 통신을 하는 포인트 투 포인트 또는 멀티 포인트 불균형 링크 구성에 사용
ㆍ종국은 주국의 허가가 있을 때에만 통신
비동기 응답 모드(ARM) ㆍ전이중 통신을 하는 포인트 투 포인트 불균형 링크 구성에 사용
ㆍ종국은 주국의 허가 없이도 송신이 가능하지만. 링크 설정이나 오류 복구 등의 제어 기능은 주국만 함
비동기 균형(평형) 모드(ABM) ㆍ포인트 투 포인트 균형 링크에서 사용
ㆍ혼합국끼리 허가없이 언제나 전송할 수 있도록 설정

 

 

#223_오류의 발생 원인

 - 감쇠 : 전송 신호 세력이 전송 매체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거리에 따라 약해지는 현상

 - 지연 왜곡 : 하나의 전송 매체를 통해 여러 신호를 전달했을 떄 주파수에 따라 그 속도가 달라지므로 생기는 오류

 - 백색 잡음 : 전송 매체 내부에서 온도에 따라 전자의 운동량이 변화함으로써 생기는 잡음으로, 가우스 잡음, 열 잡음이라고도 함

 - 상호 변조(간섭) 잡음 : 서로 다른 주파수들이 하나의 전송 매체를 공유할 때 주파수 간의 합이나 차로 인해 새로운 주파수가 생성되는 잡음

 - 누화 잡음 = 혼선 : 인접한 전송 매체의 전자기적 상호 유도 작용에 의해 생기는 잡음

 - 충격성 잡음 : 변개와 같은 외부적인 충격 또는 통신 시스템의 결함이나 파손 등의 기계적인 충격에 의해 생기는 잡음으로, 디지털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중요한 오류 발생 요인이 됨

 - 우연적 왜곡과 시스템적 왜곡

  ㆍ우연적 왜곡 : 예측할 수 없이 무작위로 발생하는 왜곡으로 백색잡음, 충격 잡음, 누화 잡음, 위상 히트 잡음 등을 말함

  ㆍ시스템적 왜곡 : 전송 매체에서 언제든지 일어날 수 있는 왜곡으로 손실, 감쇠, 하모닉 왜곡 등이 있음

 

#225_자동 반복 요청(ARQ)

 - 오류 발생 시 수신측은 오류 발생을 송신측에 통보하고, 송신측은 오류 발생 블록을 재전송하는 모든 절차를 의미

 - 정지 대기(Stop-Wait) ARQ

  ㆍ송신측에서 한 개의 블록을 전송 한 후 수신측으로부터 응답을 기다리는 방식

  ㆍ구현 방법이 가장 단순하지만 전송 효율이 떨어짐

 - 연속(Continuous) ARQ

  ㆍ연속적으로 데이터 블록을 보내는 방식

  ㆍGO-Back-N ARQ : 오류가 발생한 블록 이후의 모든 블록을 재전송

  ㆍ선택적 재전송 ARQ : 오류가 발생한 블록만을 재전송하는 방식

 - 적응적(Adaptive) ARQ

  ㆍ블록 길이를 채널의 상태에 따라 그때그떄 동적으로 변경하는 방식으로 전송 효율이 제일 좋음

  ㆍ제어 회로가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들어 현재 거의 사용되지 않음

 

#226_오류 검출 방식

 - 패리티 검사

  ㆍ전송 비트에 1비트의 검사 비트인 패리티 비트를 추가하여 오류를 검출

  ㆍ가장 간단한 방식이지만, 2개의 비트가 동시에 오류가 발생하면 검이 불가능

  ㆍ오류를 검출만 할 수 있고 수정은 하지 못함

  ㆍ홀수/짝수 수직 패리티 체크와 홀수/짝수 수평 패리티 체크가 있음

 - 순환 중복 검사(CRC)

  ㆍ다항식 코드를 사용하여 오류를 검출하는 방식

  ㆍ동기식 전송에 주로 사용

  ㆍHDLC 프레임의 FCS(프레임 검사 순서 필드)에 사용되는 방식

  ㆍ집단 오류를 검출할 수 있고, 검출율이 높으므로 가장 많이 사용함

 - 궤환 전송 방식

  ㆍ수신측에서 받은 데이터를 송신측으로 되돌려 보내어 원본 데이터와 비교하여 오류가 있는 경우 재전송하는 방식

 - 자동 연속 방식

  ㆍ동일 데이터를 2번 이상 전송하여 두 데이터를 비교하여 오류를 검출

 - 해밍 코드

  ㆍ수신측에서 오류가 발생한 비트를 검출한 후 직접 수정하는 방식

  ㆍ1비트의 오류만 수정이 가능하며, 정보 비트 외에 잉여 비트가 많이 필요함

 - 상승 코드 방식

  ㆍ순차적 디코딩과 한계값 디코딩을 사용하여 오류를 수정

  ㆍ여러 비트의 오류를 수정할 수 있음  

#205_데이터 처리 시스템

 - 정보 통신 시스템 중 데이터의 처리 기능을 하는 컴퓨터를 의미

 - 통신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고 송수신되는 자료를 처리하는 등 데이터 통신 시스템 전체를 제어

 - 기계 장치인 하드웨어와 하드웨어를 움직이는 소프트웨어로 구성

 - 하드웨어

  ㆍ중앙처리장치 : 사람의 두뇌와 같이 컴퓨터 시스템에 부착된 모든 동작을 제어하고 명령을 실행하는 장치로 제어장치, 연산장치, 주기억장치로 구성

  ㆍ주변 장치 : 컴퓨터의 필수적인 부분은 아니지만 비교적 근거리에 위치하여 컴퓨터를 구성하는 보조기억장치와 입/출력 장치를 말함

 - 소프트웨어

  ㆍ운영체제 : 사용자의 펴의를 도모하는 동시에 시스템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의 모임으로 제어 프로그램과 처리 프로그램으로 나뉨

  ㆍ통신 소프트웨어의 주요 기능 : 데이터 전송 회선과 통신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컴퓨터와 터미널 간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총칭하는 것으로, 데이터의 송수신, 통신 하드웨어 제어,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등의 기능을함

 

#206_꼬임선(Twisted Pair Wire)

 - 전기적 간섭 현상을 줄이기 위해서 균일하게 서로 감겨있는 형태의 케이블

 - 가격이 저렴하고 설치가 간편함

 - 거리, 대역폭, 데이터 전송률면에서 제약이 많음

 - 다른 전기적 신호의 간섭이나 잡음에 영향을 받기가 쉬움

 

#207_광섬유 케이블(Optical Fiver Cable)

 - 유리를 원료로 하여 제작된 가느다란 광섬유를 여러 가닥 묶어서 케이블 형태로 만든 것

 - 데이터를 빛으로 바꾸어 빛의 반사 원리를 이용하여 전송

 - 유선 매체 중 가장 빠른 속도와 높은 주파수 대역폭을 제공

 - 대용량, 장거리 전송이 가능

 - 가늘고 가벼워 설치 용이

 - 도청이 어려워 보안성이 띄어남

 - 무유도, 무누화의 성질을 가짐

 - 감쇠율이 적어 리피터의 설치 간격이 넓으므로 리피터의 소요가 적음

 - 설치 비용은 비싸지만 단위 비용은 저렴

 - 광 섬유 간의 연결이 어려워 설치 시 고도의 기술이 필요함

 

#208_통신 속도와 통신 용량

 - 통신 속도

변조 속도 1초 동안 몇개의 신호 변화가 있었는가를 나타내는 것(단위 : baud)
신호 속도 1초 동안 전송 가능한 비트의 수(단위 : bps(bit/sec)
ㆍ데이터 신호 속도(bps) = 변조 속도(baud) x 변조시 상태 변화 수
ㆍ변조 속도(baud) = 데이터 신호 속도(bps) / 변조시 상태 변화 수
전송 속도 단위 시간에 전송되는 데이터의 양(문자, 블록, 비트, 단어 수 등)
베어러 속도 데이터 신호에 동기 문자, 상태 신호 등을 합한 속도(단위 : bps(bit/sec))

 - 통신 용량 : 단위 시간 동안 전송 회선이 최대로 전송할 수 있는 통신 정보량

  ㆍC=W log₂(1+S/N) [bps] (C : 통신 용량, W ; 대역폭, S : 신호 전력, N : 잡음 전력)

 - 전송로의 통신 용량을 늘리기 위한 방법 : 주파수 대역폭을 늘림, 신호 세력을 높임, 잡음 세력을 줄임

 

#209_데이터 전송 기본

 - 데이터

  ㆍ아날로그 데이터 : 셀 수 없는 연속적인 값 ex)음성, 화상, 온도, 유압 등

  ㆍ디지털 데이터 : 셀 수 있는 이산적인 값 ex)문자, 숫자

 - 신호 : 데이터를 전송 매체를 통해 전송할 수 있는 상태로 변환시켜 놓은 것

  ㆍ아날로그 신호 : 정현파에 주파수, 진폭, 위상 특성을 포함하여 표현되는 전기적 신호가 연속적으로 변하는 파형

  ㆍ디지털 신호 : 2진수 0과 1에 대한 전압 펄스의 연속적인 구성

 - 주파수 : 단위 시간(주로 1초)내에 신호 파형이 반복되는 횟수를 의미(단위 : Hz)

  ㆍ고주파 : 파형의 가로 폭이 좁음, 고속 전송에 사용, 전송 거리가 짧음

  ㆍ저주파 : 파형의 가로 폭이 넓음, 저속 전송에 사용, 전송 거리가 김

  ㆍ단위 시간과의 관계 : f = 1/T (f : 주파수, T : 주기)

  ㆍ주요 데이터의 주파수 : 음성 300Hz ~ 3400Hz, UHF 300MHz ~ 3000MHz

 - 대역폭(Bandwidth) : 주파수의 변화 범위, 즉 상한 주파수와 하한 주파수의 차이를 의미

 - 신호 변환 방식의 종류

  ㆍ아날로그 데이터 → 아날로그 신호 : 진폭 변조, 주파수 변조, 위상 변조

  ㆍ디지털 데이터 → 아날로그 신호 : 모뎀 이용, 변조 방식 : 진폭 편이 변조, 주파수 편이 변조, 위상 편이 변조, 직교 진폭 변조

  ㆍ아날로그 데이터 → 디지털 신호 : 코덱 이용, 변조 방식 : 펄스 코드 변조(PCM)

  ㆍ디지털 데이터 → 디지털 신호 : 2진 데이터의 각 비트를 디지털 신호 요소로 변환하며, DSU를 이용함

 

#210_신호 변환 방식  - 디지털 변조

 - 진폭 편이 변조(ASK)

  ㆍ2진수 0과 1을 서로 다른 진폭의 신호로 변조

 - 주파수 편의 변조(FSK)

  ㆍ2진수 0과 1을 서로 다른 주파수로 변조

  ㆍ1200bps 이하의 저속도 비동기식 모뎀에서 사용됨

 - 위상 편이 변조(PSK)

  ㆍ2진수 0과 1을 서로 다른 위상을 갖는 신호로 변조

  ㆍ한 위상에 1비트(2위상), 2비트(4위상), 3비트(8위상)를 대응시켜 전송하므로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음

  ㆍ중고속의 동기식 모뎀에 많이 사용됨

 - 직교 진폭 변조(QAM) = 진폭 위상 변조, 직교 위상 변조)

  ㆍ반송파의 진폭과 위상을 상호 변환하여 신호를 얻는 변조 방식

  ㆍ고속 전송 가능, 9600bps 모뎀의 표준 방식

 

#211_신호 변환 방식 - 펄스 코드 변조(PCM)

 - 화상, 음성, 동영상 비디오, 가상 현실 등과 같이 연속적인 시간과 진폭을 가진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변조하는 방식으로, CODEC을 이용함

 - 펄스 변조 : 펄스파의 진폭, 폭, 위상 등을 변화시키는 변조 방식

  ㆍ연속 레벨 변조 : 펄스 진폭 변조, 펄스 폭 변조, 펄스 위상 변조, 펄스 주파수 변조

  ㆍ불연속 레벨 변조 : 펄스 수 변조, 펄스 부호 변조, 델타 변조

 - 펄스 코드 변조(PCM) 순서 : 표준화 → 양자화 → 부호화

표본화
(Sampling)
ㆍ음성, 영상 등의 연속적인 신호 파형을 일정 시간 간격으로 검출하는 단계
ㆍ샤논의 표본화 이론 : 어떤 신호 f(t)가 의미를 지니는 최고 주파수보다 2배 이상의 주파수로 균일한 시간 간격동안 채집된다면 이 채집된 데이터는 원래의 신호를 가진 모든 정보를 포함함
ㆍ표본화 횟수 = 2배 x 최고 주파수
ㆍ표본화 간격 = 1/표본화 횟수
양자화(Quantizing) ㆍ표본화된 PAM 신호를 유한 개의 부호에 대한 대표값으로 조정하는 과정
ㆍ실수 형태의 PAM 신호를 반올림하여 정수형으로 만듦
ㆍ양자화 잡음 : 표본 측정값과 양자화 파형과의 오차
ㆍ양자화 레벨 : PAM 신호를 부호화할때 2진수로 표현할 수 있는 레벨
부호화
(Encoding)
양자화된 PCM 펄스 진폭 크기를 2진수(1과 0)로 표시하는 과정
복호화
(Decoding)
수신된 디지털 신호(PCM 신호)를 PAM신호로 되돌리는 단계
여파화
(Filtering)
PAM 신호를 원래 입력 신호인 아날로그 신호로 복원하는 과정

 

#212_베이스밴드(Base Band) 전송

 - 컴퓨터나 단말 장치 등에서 처리된 디지털 데이터를 다른 주파수 대역으로 변조하지 않고 직류 펄스의 형태 그대로 전송하는 것으로, 기저 대역 전송이라고도 함

 - 신호만 전송되기 때문에 전송 신호의 품질이 좋음

 - 직류를 사용하므로 감쇠 등의 문제가 있어 장거리 저송에 적합하지 않음

 - 컴퓨터와 주변장치간의 통신이나 LAN등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서 사용됨

 - 베이스밴드의 전송 방식 : 단류 NRZ, 복류 NRZ, 단류 RZ, 복류 RZ, 바이폴라, 맨체스터, RB 방식, CMI 방식, 차분 방식

 

#213_아날로그/디지털 전송

 - 아날로그 전송

  ㆍ전송 매체를 통해 전달되는 신호가 아날로그 형태인 것

  ㆍ신호의 감쇠 현상이 심하므로 장거리 전송 시 증폭기에 의해 신호를 증폭하여 전송하며, 이때 신호에 포함된 잡음까지도 같이 증폭되기 때문에 오류의 확률이 높음

 - 디지털 전송

  ㆍ전송 매체를 통해 전달되는 신호가 디지털 형태인 것

  ㆍ장거리 전송 시 중계기에 의해 원래의 신호 내용을 다시 복원한 다음 전송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잡음에 의한 오류율이 낮음

  ㆍ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더 많은 용량을 전송할 수 있음

  ㆍ아날로그나 디지털 정보의 암호화를 쉽게 구현할 수 있음

  ㆍ전송 장비의 소형화, 가격의 저렴화

 

#214_직렬/병렬 전송

 - 직렬 전송

  ㆍ정보를 구성하는 각 비트들이 하나의 전송 매체를 통하여 한 비트씩 순서적으로 전송되는 형태

  ㆍ전송 속도가 느리지만 구성 비용이 적게 듬

  ㆍ원거리 전송에 적합하며 대부분의 데이터 통신에 사용됨

 - 병렬 전송

  ㆍ정보를 구성하는 각 비트들이 여러 개의 전송 매체를 통하여 동시에 전송되는 형태

  ㆍ전송 속도는 빠르지만 구성 비용이 많이 듬

  ㆍ근거리 전송에 적합하며 주로 컴퓨터와 주변기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에 사용됨

 

#215_통신 방식

 - 단방향 통신 : 한쪽 방향으로만 전송이 가능한 방식

 - 반이중 통신 : 양방향 전송이 가능하지만 동시에 양쪽 방향에서 전송할 수 없는 방식

 - 전이중 통신 : 동시에 양방향 전송이 가능한 방식으로, 전송량이 많고, 전송 매체의 용량이 클 떄 사용

#194_정보 통신의 개요

 - 정보 통신 : 컴퓨터와 통신 기술의 결합에 의해 통신 처리 기능과 정보처리 기능은 물론 정보의 변형, 저장 과정이 추가된 형태의 통신(정보통신 = 전기 통신(정보 전송) + 컴퓨터(정보 처리))

 - 통신의 3요소 : 정보원, 수신원, 전송 매체(=통신 회신)

 - SAGE : 최초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

 - SABRE : 최초의 상업용 데이터 통신 시스템

 - ARPANET : 인터넷의 효시가 된 통신 시스템

 - ALOHA : 최초의 무선 패킷 교환 시스템으로 회서 제어 방식 중 경쟁 방식의 모체

 - SNA :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표준화가 시작

 - 정보 통신 시스템의 기본 구성

  ㆍ데이터 전송계 : 단말 장치, 데이터 전송 회선(신호 변환 장치, 통신 회선), 통신 제어 장치

  ㆍ데이터 처리계 : 컴퓨터(하드웨어, 소프트웨어)

 

#195_정보 통신 시스템의 특징

 - 고속, 고품질 전송이 가능

 - 고도의 오류 제어 방식으로 시스템의 신뢰도가 높음

 - 대형 컴퓨터와 대용량 파일의 공동 이용

 - 분산 처리가 가능

 - 통신 회선의 효율적 이용

 - 대용량, 광대역 전송이 가능

 - 거리와 시간의 한계 극복

 - 통신 비밀을 유지하기 위한 보안 시스템 필요

 

#196_정보 통신 시스템의 처리 형태 및 응용

 - 정보 통신 시스템의 처리 형태

온라인 시스템 ㆍ데이터가 발생한 단말 장치와 데이터를 처리할 컴퓨터가 통신 회선을 통해 직접 연결된 형태
ㆍ데이터의 송수신 중간에 사람 혹은 기록 매체가 개입되지 않음
ㆍ정보 통신 업무와 대부분을 차지하는 실시간 처리가 요구되는 작업에 주로 사용됨
실시간 처리 시스템 ㆍ데이터가 발생한 즉시 처리하며 그 결과를 되돌려 주는 방식
ㆍ은행 업무, 예약 업무, 각종 조회 업무 등에 사용
시분할 시스템 ㆍ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는 시간을 일정하게 쪼개 여러 개의 단말장치가 정해진 시간 동안 번갈아 가며 컴퓨터를 사용하는 방식

 - 정보 통신 시스템의 응용

  ㆍ온라인 실시간 처리 : 거래 처리, 질의/응답, 메세지 교환

  ㆍ온라인 일괄 처리 : 데이터 수집과 입력, 원격 일괄 처리

 

#197_단말 장치(DTE)

 - 데이터 통신 시스템과 외부 사용자와의 접속점에 위치하여 최종적으로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장치

 - 기능

  ㆍ입/출력 기능

  ㆍ전송 제어 기능 - 입/출력 제어 기능, 회선 제어 기능(송 수신 제어 기능, 오류 제어 기능), 회선 접속 기능

  ㆍ기억 기능

 - 내장 프로그램의 유무에 따른 분류

  ㆍ지능형(스마트) 단말 장치 : CPU와 저장장치가 내장된 단말 장치로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단독으로 일정 수준 이상의 작업 처리가 가능

  ㆍ비지능형(더미) 단말 장치 : 입력 장치와 출력 장치로만 구성되어있어 단독으로 작업을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이 없음

 

#198_통신 제어 장치(CCU)

 - 데이터 전송 회선과 주컴퓨터 사이에 위치하여, 컴퓨터가 데이터 처리에 전념할 수 있도록 컴퓨터를 대신해 데이터 전송에 관한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수행함

 - 통신 제어 장치의 기능

  ㆍ전송 제어 : 다중 접속 제어, 교환 접속 제어, 통신 방식 제어, 우회 중계 회선 설정(경로 설정)

  ㆍ동기 및 오류 제어 : 동기 제어, 오류 제어, 흐름 제어, 응답 제어, 정보 전송 단위의 정합, 데이터 신호의 직병렬 변환, 투과성, 정보 표시 형식의 변환, 무선권 제어

  ㆍ그 밖의 기능 : 제어 정보 식별, 기밀 보호, 관리 기능

 - 전처리기(FEP) : 호스트 컴퓨터와 단말기 사이에 고속 통신 회선으로 설치되며, 통신 회선 및 단말기 제어, 메세지 조립과 분해, 전송 메세지 검사 등을 수행하므로 컴퓨터의 부담이 적어짐

 

#199_신호 변환 장치(DCE)

 - 컴퓨터나 단말 장치의 데이터를 통신 회선에 적합한 신호로 변경하거나, 통신 회선의 신호를 컴퓨터나 단말 장치에 적합한 데이터로 변경하는 신호 변환 기능 수행

 - 모뎀(MODEM)

  ㆍ컴퓨터나 단말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회선에 적합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변조 과정과 그 반대의 복조 과정을 수행

  ㆍ디지털 데이터를 공중 전화 교환망(PSTN)과 같은 아날로그 통신망을 이용하여 전송할 떄 사용

  ㆍ기능 : 변복조 기능, 자동 응답 기능, 자동 호출 기능, 자동 속도 조절 기능, 모뎀 시험 기능

 - DSU(Digital Service Unit)

  ㆍ컴퓨터나 단말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디지털 회선에 적합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과 그 반대의 과정을 수행

  ㆍ신호의 변조 과정이 없이 단순히 유니폴라(단극성) 신호를 바이폴라(양극성) 신호로 변환하여 주는 기능만 제공하기 때문에 모뎀에 비하여 단순

  ㆍ디지털 데이터를 공중 데이터 교환망(PSDN)과 같은 디지털 통신망을 이용하여 전송할 때 사용됨

  ㆍ송수신 기능과 타이밍 회복 기능을 DSU 자체에서 수행함

  ㆍ속도가 빠르고 오류율이 낮음

 - 코덱(CODEC)

  ㆍ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통신 회선에 적합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거나 그 반대의 고ㅘ정을 수행

  ㆍ펄스 코드 변조(PCM) 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 변환

 

#200_DTE/DCT 접속 규격

 - 단말장치(DTE)와 회선 종단 장치(DCT) 간의 접속을 정확하게 수행하기 위한 기계적, 전기적, 물리적, 논리적 조건을 사전에 정의해놓은 규격으로, OSI 참조 모델의 물리 계층에 관계됨

 - 접속 규격 표준안

ITU-T V 시리즈 공중 전화 교환망(PSTN)을 통한 DTE/DCE 접속 규격
ㆍV.24 : 기능적, 절차적 조건에 대한 규정
ㆍV.28 : 전기적 조건에 대한 규정
X 시리즈 공중 데이터 교환망(PSDN)을 통한 DTE/DCE 접속 규격
ㆍX.20 : 비동기식 전송을 위한 DTE/DCE 접속 규격
ㆍX.21 : 동기식 전송을 위한 DTE/DCE 접속 규격
ㆍX.25 : 패킷 전송을 위한 DTE/DCE 접속 규격
IEEE RS-232C 공중 전화 교환망(PSTN)을 통한 DTE/DCE 접속 규격
ㆍV.24, V.28, ISO2110을 사용하는 접속 규격과 기능적으로 호환성을 가지며, 현재 가장 많이 사용

 - RS-232C 커넥터 ; 25핀으로 구성, 거리는 15m이하, 데이터 신호 속도는 최고 20kbps이며, 전이중/반이중, 동기/비동기 모두에 대응함

 

#201_주파수 분할 다중화기(FDM)

 - 통신 회선의 주파수를 여러 개로 분할하여 여러 대의 단말 장치가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

 - 전송 신호에 필요한 대역폭보다 전송 매체의 유효 대역폭이 큰 경우에 사용

 - 다중화기 자체에 변복조 기능이 내장되어 있어 모뎀을 설치할 필요가 없음

 - 다른 다중화기에 비해 구조가 간단하고 가격이 저렴함

 - 대역폭을 나누어 사용하는 각 채널들 간의 상호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대역이 필요함

 - 보호대역 사용으로 인한 대역폭의 낭비가 초래됨

 - 저속(1200baud 이하)의 비동기식 전송, 멀티 포인트 방식, 아날로그 신호 전송에 적합함

 

#202_시분할 다중화기(TDM)

 - 통신 회선의 대역폭을 일정한 시간 폭으로 나누어 여러 대의 단말 장치가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

 - 디지털 회선에 주로 이용하며, 대부분의 데이터 통신에 사용

 - 다중화기의 내부 속도와 단말 장치의 속도 차이를 보완해 주는 버퍼가 필요함

 - 동기식 시분할 다중화기(STDM)

  ㆍ모든 단말 장치에 균등한 시간 폭을 제공

  ㆍ전송 매체의 데이터 전송률이 전송 디지털 신호의 데이터 전송률을 능가할 떄 사용

  ㆍ전송할 데이터가 없는 경우에도 시간 폭이 제공되므로 효율성이 떨어짐

 - 비동기식 시분할 다중화기(ATDM)

  ㆍ전송할 데이터가 있는 단말 장치에만 시간 폭을 제공하므로 전송 효율이 높음

  ㆍ동기식 시분할 다중화기에 비해 많은 수의 단말기들을 전송 매체에 접속할 수 있지만, 접속에 소요되는 시간이 김

  ㆍ주로 회로, 흐름제어, 오류 제어 등의 기능이 필요하므로 장비가 복잡하고 가격이 비쌈

  ㆍ지능 다중화기, 확률적 다중화기, 통계 시분할 다중화기 라고도함

 

#203_역 다중화기(Inverse Multiplexer)

 - 광대역 회선 대신에 두 개의 음성 대역 회선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 광대역 통신 회선을 사용하지 않고도 9600bps 이상의 광대역 속도를 얻을수 있으므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음

 - 하나의 통신 회선이 고장 나더라도 나머지 하나의 회선을 통해 1/2 속도로 전송을 유지할 수 있음

 - 여러 가지 변화에 대응해 여러가지의 전송 속도를 얻을 수 있음

 - 음성 회선의 특성상 두 회선의 상대적 전송 지연이 발생할 수 있음

 

#204_집중화기(Concentrator)

 - 하나 또는 소수의 회선에 여러 대의 단말기를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 실제 전송할 데이터가 있는 단말기에만 통신 회선을 할당하여 동적으로 통신 회선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함

 - 한개의 단말 장치가 통신 회선을 점유하게 되면 다른 단말 장치는 회선을 사용할 수가 없으므로 다른 단말기의 자료를 임시로 보관한 버퍼가 필요함

 - 회선의 이용률이 낮고, 불규칙한 전송에 적합함

#181_프로세서 연결 방식

 - 시분할 및 공유 버스

  ㆍ프로세서, 주변장치, 기억장치 등의 각종 장치들간을 '버스'라는 단일 경로로 연결한 방식

  ㆍ버스에 이상이 발생하면 전체 시스템이 가동되지 않음

  ㆍ장치 연결이 단순하고, 경제적이며, 융통성이 있음

  ㆍ장치 추가가 용이하지만 버스에 이상이 발생하면 전체 시스템이 가동되지 않음

 - 크로스바 교환 행렬

  ㆍ시분할 및 공유 버스 구조에서 버스의 수를 기억장치 수만큼 증가시켜 연결한 방식

  ㆍ각 기억장치마다 다른 경로로 사용할 수 있음

 - 하이퍼 큐브

  ㆍ다수의 프로세서들을 연결하는 방식으로 비교적 경제적인 방식

  ㆍ다수의 프로세서를 연결할 수 있으며, 확장성이 좋음

  ㆍ하나의 프로세서에 연결되는 다른 프로세서의 수(연결점)가 n개일 경우 프로세스는 총 2ⁿ개가 필요함

 - 다중 포트 기억장치

  ㆍ시분할 및 공유 버스 방식과 크로스바 교환 행렬을 혼합한 형태의 방식

  ㆍ많은 수의 프로세서를 쉽게 연결할 수 있음

  ㆍ다양한 연결이 가능하며, 전송 시간이 비교적 느림

 

#182_다중 처리기의 운영체제 구조

 - 주/중 처리기

  ㆍ하나의 프로세서를 Master(주프로세서)로 지정하고, 나머지들은 Slave(종프로세서)로 지정하는 구조

  ㆍ주프로세서가 고장나면 전체 시스템이 다운됨

  ㆍ주프로세서 : 입/출력과 연산 담당, 운영체제 수행

  ㆍ종프로세서 : 연산만 담당

 - 분리 실행처리기

  ㆍ주/종 처리기의 비대칭성을 보완하여 각 프로세서가 독자적인 운영체제를 가지고 있도록 구성한 구조

  ㆍ각 프로세서에서 발생하는 인터럽트는 해당 프로세서에서 해결

  ㆍ각 프로세서가 독자적인 운영체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한 프로세서가 고장나더라고 전체 시스템이 다운되지 않음

  - 대칭적 처리기

  ㆍ여러 프로세서들이 완전한 기능을 갖춘 하나의 운영체제를 공유하여 수행하는 구조

  ㆍ가장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가장 강력한 시스템임

  ㆍ여러 개의 프로세서가 동시에 수행될 수 있고, 시스템의 전반적인 정보를 통일적이고 일관성있게 운영함

 

#183_프로세서의 결합도

 - 약결합(Loosely Coupled) 시스템

  ㆍ각 프로세서마다 독립된 메모리를 가진 시스템으로, 분산 처리 시스템이라고도 함

  ㆍ둘 이상의 독립된 컴퓨터 시스템을 통신망(통신 링크)을 통하여 연결한 시스템

  ㆍ각 시스템마다 독자적인 운영체제를 가지고 있음

  ㆍ각 시스템은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도 있고, 필요한 경우에는 상호 통신을 할 수 있음

  ㆍ프로세서 간의 통신은 메세지 전달이나 원격 프로시저 호출을 통해서 이루어짐

  ㆍ각 시스템마다 독자적인 운영이 가능하므로 CPU 간의 결합력이 약함

 - 강결합(Tightly Coupled) 시스템

  ㆍ동일 운영체제 하에서 여러 개의 프로세서가 하나의 메모리를 공유하여 사용하는 시스템으로, 다중(병렬) 처리 시스템이라고도 함

  ㆍ하나의 운영체제가 모든 프로세서와 시스템 하드웨어를 제어함

  ㆍ프로세서 간의 통신은 공유 메모리를 통해서 이루어짐

  ㆍ하나의 메모리를 사용하므로 CPU 간의 결합력이 강함

 

#184_분산 처리 시스템의 목적/장단점

 - 목적 : 자원 공유, 연산 속도 향상, 신뢰도 향상, 컴퓨터 통신

 - 장점 : 통신 용이, 장치 공유, 데이터 공유, 중앙 컴퓨터 과부하 줄임, 컴퓨터의 위치를 몰라도 자원 사용 가능, 시스템의 점진적 확장 가능 등

  - 단점 : 중앙 집중형 시스템에 비해 소프트웨어 개발이 어려움, 보안 문제 발생, 설계 복잡 등

 

#185_분산 처리 시스템의 투명성

 - 투명성(Transparency) : 사용자가 분산된 시스템에 위치한 여러 자원을 사용할 때 각 자원의 위치 정보를 알지 못하고 마치 하나의 커다란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처럼 인식하도록 하는 것

 - 여러 유형의 투명성을 통해 자원의 위치나 정보가 변경되더라도 사용자가 이를 인식하지 못하게 됨

 - 투명성의 종류 : 위치 투명성, 이주 투명성, 복제 투명성, 병행 투명성, 접근 투명성, 성능 투명성, 규모 투명성, 고장 투명성

 

#186_위상에 따른 분산 처리 시스템의 분류

 - 완전 연결(Fully Connection) 형

  ㆍ각 사이트들이 시스템 내의 다른 모든 사이트들과 직접 연결된 구조

  ㆍ사이트의 수가 n개이면 링크(연결)의 수는 n(n-1)/2개 임

  ㆍ기본 비용은 많이 들지만 통신 비용은 적게 들고, 신뢰성이 높음

 - 부분 연결(Paritally Connection) 형

  ㆍ시스템 내의 일부 사이트들 간에만 직접 연결된 형태로, 직접 연결되지 않은 사이트는 연결된 다른 사이트를 통해 통신하는 구조

  ㆍ기본 비용은 완전 연결형보다 적게 들고, 통신 비용은 완전 연결형보다 많이 듬

  ㆍ완전 연결형보다 신뢰성이 낮음

 - 트리(Tree) / 계층(Hierarchy) 형

  ㆍ분산 처리 시스템의 가장 대표적인 형태로, 각 사이트들이 트리 형태로 연결된 구조

  ㆍ기본 비용은 부분 연결형보다 적게 들고, 통신 비용은 트리의 깊이에 비례함

  ㆍ부모 사이트의 자식 사이트들은 그 부모사이트를 통해 통신이 이루어짐

  ㆍ부모 사이트가 고장나면 그 자식 사이트들은 통신이 불가능함

 -스타(Star) 형 / 성형

  ㆍ모든 사이트가 하나의 중앙 사이트에 직접 연결되어 있고 그 외의 다른 사이트와는 연결되어 있지 않은 구조

  ㆍ기본 비용은 사이트의 수에 비례하며, 통신 비용은 적게 듬

  ㆍ중앙 사이트를 제외한 사이트의 고장이 다른 사이트에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중앙 사이트가 고장 날 경우 모든 통신이 단절됨

 - 링(Ring)형/환형

  ㆍ시스템 내의 각 사이트가 인접하는 다른 두 사이트와만 직접 연결된 구조

  ㆍ정보는 단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전달될 수 있음

  ㆍ기본 비용은 사이트 수에 비례하고, 통신 비용은 일반적으로 저렴함

  ㆍ사이트의 고장은 다른 사이트의 통신에 영향을 주지 않지만 버스의 고장은 전체 시스템에 영향을 줌

 

#187_UNIX의 특징

 - 시분할 시스템을 위해 설계된 대화식 운영체제로, 소스가 공개된 개방형 시스템(Open System)

 - 대부분 C언어로 작성되어 있어 이식성이 높으며 장치, 프로세스간의 호환성이 높음

 - 크기가 작고 이해하기가 쉬우며,Multi-User, Multi-Tasking 지원

 - 많은 네트워킹 기능을 제공하므로 통신망(Network) 관리용 운영체제로 적합함

 - 트리 구조의 파일 시스템으로 전문적은 프로그램 개발에 용이함

 - 다양한 유틸리티 프로그램들이 존재함

 

#188_UNIX 시스템의 구성

 - 커널

  ㆍUNIX의 가장 핵심적인 부분

  ㆍ하드웨어를 보호하고, 프로그램들과 하드웨어 간의 인터페이스 역할 담당

  ㆍ프로세스 관리, 기억장치 관리, 파일 관리, 입/출력 관리, 프로세스간 통신, 데이터 전송 및 변환 등 여러가지 기능 수행

 - 쉘(Shell)

  ㆍ사용자의 명령어를 인식하여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명령을 수행하는 명령어 해석기

  ㆍ시스템과 사용자 간의 인터페이스 담당

  ㆍDOS의 COMMAND.COM과 같은 기능 수행

  ㆍ주기억장치에 상주하지 않고, 명령어가 포함된 파일 형태로 존재하며 보조기억장치에서 교체 처리 가능

 - 유틸리티(Utility)

  ㆍ일반 사용자가 작성한 응용 프로그램을 처리하는 데 사용 DOS에서의 외부 명령어에 해당됨

 

#189_UNIX 파일 시스템의 구조

 - 부트 블록 : 부팅시 필요한 코드를 저장하고 있는 블록

 - 슈퍼 블록 : 전체 파일 시스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블록

 - Inode 블록 : 각 파일이나 디렉토리에 대한 모든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블록으로, 파일 소유자의 사용자 번호 및 그룹 번호, 파일 크기, 파일 타입, 생성시기, 최종 변경 시키 등의 정보를 가지고 있음

 - 데이터 블록 : 디렉토리 별로 디렉토리 엔트리와 실제 파일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된 블록

 

#190_UNIX의 주요 명령어

 - fork : 새로운 프로세스 생성

 - exec : 새로운 프로세스 수행

 - & : 백그라운드 처리를 위해 명령의 끝에 입력

 - mv : 파일 이동, 이름 변경

 - rm : 파일삭제

 - chmod : 파일의 사용 허가 지정

 - mount : 파일 시스템을 마운팅 함

 - mkfs : 파일 시스템 생성

 - chdir : 현재 사용할 디렉토리 위치 변경

 - fsck : 파일 시스템 검사, 보수

 - rmdir : 디렉토리 삭제

 - ls : 현재 디렉토리 내의 파일 목록 확인

 

#191_Windows의 주요 특징

 - GUI(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 키보드로 명령어를 직접 입력하지 않고, 아이콘이나 메뉴를 마우스로 선택하여 모든 작업을 수행하는 방식

 - 선점형 멀티태스킹 : 동시에 여러 개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멀티태스킹을 하면서 운영체제가 각 작업의 CPU 이용시간을 제어하여 응용 프로그램 실행 중 문제가 발생하면 해당 프로그램을 강제 종료시키고 모든 시스템 자원을 반환하는 방식

 - FAT 32 파일 시스템 사용

 - PnP(자동 감지 기능) 사용 : 컴퓨터 시스템에 프린터나 사운드 카드 등의 하드웨어를 설치했을 떄, 해당 하드웨어를 사용하는데 필요한 시스템 환경을 운영체제가 자동으로 구성해 주는 기능

 - OLE(Object Linking embedding)  사용 : 다른 여러 응용 프로그램에서 작성된 문자나 그림 등의 개체를 현재 작성 중인 문서에 자유롭게 연결 하거나 삽입하여 편집할 수 있게 하는 기능

 - 255자의 긴 파일명 사용 : 파일 이름을 VFAT을 이용하여 최대 255자까지 지정할 수 있음

 

#192_MS-DOS의 특징과 파일

 - CUI(문자 중심의 인터페이스) : 작업을 위한 실행 명령을 문자로 직접 입력하여 실행시킴

 - Single-User : 하나의 컴퓨터를 한 사람만이 사용

 - Sungle-Tasking : 한번에 하나의 프로그램만을 수행

 

#193_MS-DOS의 명령어

 - 내부 명령어 : 실행 과정이 간단하고 기본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메모리에 항상 상주하는 명령어(DIR, COPY, TYPE, REN, DEL, MD, CD, RD 등)

 - 외부 명령어 : 실행 과정이 복잡하거나 자주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디스크에 파일로 저장되어 있는 명령어(UNDELETE, SYS, ATTRIB, MOVE, FIND, CHKDSK 등)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