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9_경로 제어(Routing)
- 송수신측 간의 송신 경로 중에서 최적 패킷 교환 경로를 설정하는 기능
- 경로 설정 요소 : 성능 기준, 경로의 결정 시간과 장소, 정보 발생지, 경로 정보의 갱신 기간
- 경로 설정 프로토콜
ㆍ자율 시스템(AS) 내의 라우팅 프로토콜 : IGP, RIP, ISPF
ㆍ자율 시스템(AS) 간의 라우팅 프로토콜 : EGP, BGP
- 경로 설정 방식
ㆍ고정 경로 제어 = 착국 부호 방식 : 네트워크 내의 모든 쌍에 대해서 경로를 미리 정해 놓는 방식
ㆍ적응 경로 제어(Adaptive Routing) : 전송 경로를 동적으로 결정하는 방식
ㆍ범람 경로 제어(Flooding) : 네트워크 정보를 요구하지 않고, 송수신측 사이에 존재하는 모든 경로로 패킷 전송
ㆍ임의 경로 제어(Random Routing) : 인접하는 교환기 중 하나를 임의로 선택하여 전송하는 방식
#240_LAN(근거리 통신망)
- 광대역 통신망과 달리 한 건물이나 일정 지역내에 컴퓨터나 단말기들을 고속 전송 회선으로 연결하여 프로그램 파일 또는 주변 장치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한 네트워크
- 단일 기관의 소유, 제한된 지역 내의 통신임
- 광대역 전송 매체의 사용으로 고속 통신 가능
- 경로 선택이 필요 없고, 오류 발생률이 낮음
- 전송 매체로 꼬임선,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등을 사용
-망의 구성 형태에 따라서 스타형, 버스형, 링형, 트리형으로 분류
- 물리 계층과 데이터 링크 계층으로 나뉨
ㆍ물리 계층 : OSI 7계층의 물리 계층과 동일
ㆍ데이터 링크 계층 : 매체 접근 제어(MAC) 계층과 논리 링크 제어(LLC) 계층으로 나뉨`
#241_CSMA/CD 방식
- 통신 회선이 사용 중이면 일정 시간동안 대기하고, 통신 회선 상에 데이터가 없을 때에만 데이터를 송신하며, 송신 중에도 전송로의 상태를 계속 검사함
- 버스형 또는 성형 LAN에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
- IEEE 802.3의 표준 규약임
- 일정 길이 이하의 데이터를 송신할 경우 충돌을 검출할 수 없음
- 전송량이 적을때 매우 효율적이고 신뢰성이 높음
- 전송량이 많아지면 채널의 이용률이 떨어지고 전송 지연 시간이 급격히 증가함
- 충돌 발생 시 다른 노드에서는 데이터를 전송할 수 없으며, 지연 시간을 예측하기 어려움
#242_네트워크 관련 장비
- 허브(Hub) : 한 사무실이나 가까운 거리의 컴퓨터들을 연결하는 장치로, 각 회선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며, 신호 증폭 기능을 하는 리피터의 역할도 포함
- 리피터 : 물리 계층 장비로 전송되는 신호를 재생해줌
- 브리지 : 데이터 링크 계층의 장비로, LAN과 LAN을 연결하거나 LAN 안에서의 컴퓨터 그룹을 연결
- 라우터 : 네트워크 계층 장비로, LAN과 LAN을 연결 및 경로 선택, 서로 다른 LAN이나 LAN과 WAN을 연결
- 게이트웨이 : 프로토콜 구조가 전혀 다른 네트워크의 연결을 수행하는 장비로, 세션 계층, 표현 계층, 응용 계층간을 연결하여 데이터 형식 변환, 주소 변환, 프로토콜 변환 등을 수행
#243_VAN(부가 가치 통신망)
- 공중 통신 사업자로부터 통신 회선을 임대하여 하나의 사설망을 구축하고 이를 통해 정보의 축척, 가공, 변환 처리 등 첨가한 후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망
- 계층 구조 : 정보 처리 계층, 통신 처리 계층, 네트워크 계층, 기본 통신 계층
- 기능 : 전송 기능, 교환 기능, 통신처리 기능, 정보처리 기능
- 통신 처리 기능은 축척 교환 기능과 변환 기능으로 나뉨
ㆍ축척 교환 기능 : 전자 사서함, 데이터 교환, 동보 통신, 정시 수집, 정시 배달
ㆍ변환 기능 : 속도 변환, 프로토콜 변환, 코드 변환, 데이터 형식 변환, 미디어 변환
#244_ISDN(종합 정보 통신망)
- 음성, 문자, 화상 등의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하나의 디지털 통신망을 근간으로 종합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통합한 것
- 통신 방식 및 전송로가 모두 디지털 방식임
- 단일 통신망으로 음성, 데이터, 영상 등의 다양한 서비스 제공
- 고속 통신이 가능하며, 확장성과 재배치성이 좋음
- 64Kbps 1회선 교환 서비스를 기본으로 함
- ISDN의 통신 서비스
베어러 서비스 | ㆍ단말기가 전송하는 정보를 변형 없이 그대로 전달만 하는 서비스 ㆍ회선 교환, 패킷 교환 등 하위 계층의 기능만을 제공 |
텔레 서비스 | ㆍ베어러 서비스를 기본으로 고도의 기능을 부가하여 제공하는 서비스 ㆍ실제로 단말을 조작하고 통신하는 이용자 측에서 본 서비스 ㆍ상위 계층의 전화, 팩스, 텔레텍스, 비디오텍스, 텔렉스, 원격 회의 등의 서비스와 하위 계층의 정보 전송, 엑세스 서비스 등을 모두 제공 |
부가 서비스 | 베어러 서비스나 텔레 서비스에 발신 번호 표시, 수신자 부담, 통화 대기 등의 기능을 부가하여 서비스의 이용룰을 높이는 서비스 |
#245_ISDN의 구조
- 주요 채널의 종류
채널 | 채널 속도 | 용도B |
B | 64Kbps | ㆍ디지털 정보용 채널 ㆍ사용자의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채널 ㆍPCM화된 디지털 음성이나 회선 교환에 의한 제어 신호, 패킷 교환에 의한 정보의 전송에 이용 |
D | 16Kbps 64Kbps |
ㆍ디지털 신호용 채널 ㆍ16Kbps 이하 저속의 패킷 교환에 의한 정보 전송을 위해 이용 |
H0 | 384Kbps | 고속의 디지털 정보용 채널 |
H11 | 1,536Kbps | |
H12 | 1,920Kbps |
- 기본 속도 인터페이스(BRI) : 2B + D + 오버헤드 = 2 x 64 + 16 +48 = 192Kbps
#246_ISDN의 기능 그룹과 참조점
- 망 종단 장치(NT) : 망 관련 장비
- 터미널 장비(TE) : 사용자 관련 장비
NT1 | ㆍ가입자 접속망 종단 장치, 선로의 종단점 ㆍ1계층 선로 유지 보수 및 성능 감시, 다중화 ㆍ비트 동기(Timing) |
NT2 | ㆍ가입자 구내 교환 장치 ㆍ2~3계층의 프로토콜 처리 및 다중화 ㆍ교환, 집중화, 유지 보수 기능 |
TE1 | ISDN 접속 기능을 가진 단말기 |
TE2 | ISDN 접속 기능이 없는 단말기 |
TA | ㆍTE2 단말기를 ISDN에 접속하는 역할 ㆍ프로토콜 및 속도 변환 기능 |
LE | 상대방 ISDN 교환기와 연결의 제공하는 ISDN용 교환기 |
- 참조점 : ISDN을 구성하는 각 요소 간의 인터페이스를 구분하는 기능을 말하는 것으로, 기준점, 접속점, 분계점이라고도 함. 정보 통신망 상호간을 연결할 때 시설, 운영 및 유지 보수의 책임 한계를 구분하기 위한 접속점이 됨
#247_인터넷(Internet)
- TCP/I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여 전세계 수많은 컴퓨터와 네트워크들이 연결된 광범위한 컴퓨터 통신망
- ARPANET에서 시작되었으며, 유닉스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함
-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컴퓨터는 고유한 IP 주소를 가짐
- 컴퓨터 또는 네트워크를 서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브리지, 라우터, 게이트웨이가 사용됨
- 인터넷 서비스 : TCP/IP의 응용 계층에서 제공
WWW | ㆍ텍스트, 그림, 동영상, 음성 등 인터넷에 존재하는 다양한 정보를 거미줄처럼 연결해놓은 종합 정보 서비스 ㆍ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하이퍼텍스트 기반으로 되어있음 |
전자우편 | ㆍ인터넷을 통해 다른 사람과 편지뿐만 아니라 그림, 동영상 등 다양한 형식의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해주는 서비스 ㆍ프로토콜 : SMTP, POP3, MIME |
FTP | 컴퓨터와 컴퓨터 또는 컴퓨터와 인터넷 사이에서 파일을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원격 파일 전송 프로토콜 |
Telnet | ㆍ멀리 떨어져 있는 컴퓨터에 접속하여 자신의 컴퓨터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서비스 ㆍ프로그램을 수행하는 등 시스템 관리 작업을 할 수 있는 가상의 터미널 기능을 수행 |
Usernet | 분야별로 공통의 관심사를 가진 인터넷 사용자들이 서로의 의견을 주고받을수 있게 하는 서비스 |
#248_인터넷의 주소 체계
- IP 주소 :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컴퓨터의 자원을 구분하기 위한 고유한 주소로, 숫자로 8비트씩 4부분, 총 32비트로 구성되며 A~E클래스까지 총 5단계로 나뉘어짐
- 서브넷 마스크 : 4바이트의 IP 주소 중에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를 구분하기 위한 비트
- IPv6 : IPv4의 주소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16비트씩 8부분, 총 128비트로 구성되며, 각 부분은 16진수로 표현하고 콜론으로 구분함
- 도메인 네임 : 숫자로 된 IP주소를 문자 형태로 표현한 것으로 호스트 컴퓨터명, 소속 기관 이름, 소속 기관 종류, 소속 국가명 순으로 구성
- DNS : 문자로 된 도메인 네임을 IP주소로 변환
#249_위성 통신
- 지상에서 쏘아 올린 마이크로 주파수를 통신 위성을 통해 변환, 증폭한 후 다른 주파수로 지상에 송신하는 방식
- 위성 통신에 사용하고 있는 주파수 대역은 3~30GHz의 극초단파(SHF)임
- 통신 위성은 약 35,800km 정도의 정지 궤도상에 위치하여 지구의 자전 속도로 운행
- 한 대의 통신 위성은 지구 표현의 약 42.4% 지역을 커버할 수 있으므로 이론상 최소한 3개의 정지 위성만 있으면 극 지역을 제외한 지구상의 어느 지점과도 통신이 가능
- 대역폭이 넓어 고속 대용량 통신이 가능하고, 통신 비용이 저렴
- 오류율이 적어 고품질의 정보 전송 가능
- 통신 범위가 넓으며, 전송 비용이 거리에 무관하게 일정
- 전송 지연 시간이 길며, 보안성이 취약
- 위성 통신 시스템은 통신 위성, 지구 국, 채널로 구성됨
'자격증 > 정보처리산업기사 - 개정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4년 1회 정보처리산업기사 필기 오답노트 (0) | 2020.06.16 |
---|---|
정보처리산업기사 필기_5과목, 정보 통신 개론(#250~#252) (0) | 2020.06.15 |
정보처리산업기사 필기_5과목, 정보 통신 개론(#227~#238) (0) | 2020.06.15 |
정보처리산업기사 필기_5과목, 정보 통신 개론(#216~#226) (0) | 2020.06.15 |
정보처리산업기사 필기_5과목, 정보 통신 개론(#205~#215) (0) | 2020.06.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