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5_시스템의 개요
- 정의 : 공통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상호 관련된 요소들을 유기적으로 결합한 것
- 특성 : 목적성, 자동성, 제어성, 종합성
- 기본 요소
ㆍ입력(Input) : 처리할 데이터, 처리 방법, 처리 조건을 시스템에 투입하는 것
ㆍ처리(Process) : 입력된 데이터를 처리 방법과 조건에 따라 처리하는 것
ㆍ출력(Output) : 처리된 결과를 시스템에서 산출하는 것
ㆍ제어(Control) : 자료가 입력되어 출력될 때까지의 처리 과정이 올바르게 행해지는지 감독하는 것
ㆍ피드백(Feedback) : 출력된 결과가 예정된 목적을 만족시키지 못한 경우 목적 달성을 위해 반복 처리하는 것
#96_시스템 분석가(SA)
- 시스템의 전반적인 흐름과 사용자들의 요구 사항을 파악하고 해결책을 마련하는 사람
- 기업을 목적과 현행 시스템의 문제점을 정확히 이해하고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함
- 업무 내용이나 시스템에 대한 분석 능력이 있어야 함
- 컴퓨터 기술과 관리 기법을 알아야 함
- 시간 배정과 계획 등을 빠른 시간 내에 파악할 수 있어야 함
- 컴퓨터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을 가져야 함
- 업계의 동향 및 관계 법규 등을 파악할 수 있어야 함
- 창조적, 응용력, 현장 분석 경험이 있어야함
- 사용자와 프로그래머, 경영진 간의 의사소통을 원활히 하는 해결사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함
#97_시스템 개발 생명 주기(SDLC)
- 시스템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공통적으로 반복되는 단계를 말하는 것
- 시스템 개발 생명 주기의 순서 : 시스템 조사 -> 시스템 분석 -> 시스템 설계 -> 시스템 구현 -> 테스트 -> 시스템 운용 -> 유지보수
- T.M.Ho의 시스템 개발 주기 순서 : 상황 조사 -> 현행 시스템의 연구 -> 사용자 요구 사항 분석 -> 대인 평가 -> 새로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선택 -> 새 시스템의 설계 -> 새 시스템의 구축 -> 새 시스템의 인도
시스템 조사 | 현행 시스템의 상태와 문제점을 파악하고 해결 방안을 제안하는 단계로, 예비 조사와 기초 조사로 나뉨 |
시스템 분석 | 조사 단계에서 조사된 사용자의 요구 사항과 현행 시스템의 문제점을 명확히 파악하여 요구 분석 명세서를 작성하는 과정으로 기능 분석, 예비 설계, 비용 효과 분석 순으로 진행됨 |
시스템 설계 |
시스템 분석에 의해 정의된 시스템 요구 분석 명세서를 토대로 하여 새로운 시스템을 구체화하는 단계 ㆍ기본 설계 : 분석 결과에 따라 사용자 입장에서 시스템 전체를 개괄적으로 설계 ㆍ상세 설계 : 각 기능의 논리적인 절차를 확정하고, 구체적인 입/출력 내용 및 파일의 구체적인 내용의 사양을 결정하기 위한 단계 |
시스템 구현 | 설계 단계에서 산출된 설계 사양에 따라 프로그래밍 언어를 이용하여 원시코드를 작성하는 단계로, 프로그래밍 또는 코딩이라고도함 |
테스트 |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시스템이 구현되었는지 검증하는 단계로, 테스트의 종류에는 통합 테스트, 시스템 테스트, 인수 테스트가 있음 |
시스템 운용(이행) | 개발된 시스템을 실제 업무 처리에 적용하여 활용하는 단계 |
유지보수 |
ㆍ시스템 개발 단계 중 가장 많은 비용이 투입되는 단계 ㆍ종류 : 수정 유지보수, 적용 유지보수, 완전 유지보수, 예방 유지보수 |
#98_코드 설계
- 코드란 컴퓨터를 이용하여 자료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분류, 조합 및 집계를 용이하게 하고, 특정 자료의 추출을 쉽게 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기호임. 또한 어떤 단위별 수치를 알거나 파일을 체계화하기 위해서 사용됨
- 코드의 기능
ㆍ3대 기능 : 분류, 식별, 배열
ㆍ그 밖의 기능 : 간소화, 표준화, 암호화, 단순화, 연상(표의성), 오류 검출, 구별, 추출
- 코드 설계 순서 : 코드화 대상 선정 -> 코드화 목적의 명확화 -> 코드 부여 대상 수 확인 ->사용 범위 결정 -> 사용 기간 결정 -> 코드화 대상의 특성 분석 -> 코드 부여 방식의 결정 -> 코드의 문서화
- 코드 설계 시 유의 사항 : 기계 처리의 용이성, 취급의 용이성, 분류의 편리성(공통성, 체계성), 확장성, 단순성, 고유성, 표의성
#99_코드의 종류
- 순서 코드(Sequece Code) : 자료의 발생 순서, 크기 순서 등 일정 기준에 따라서 최초의 자료부터 차례로 일련번호를 부여하는 방법(순차 코드, 일련 번호식 코드)
- 구분 코드(Block Code) : 코드화 대상 항목 중에서 공통성이 있는 것끼리 블록으로 구분하고, 각 블록 내에서 일련번호를 부여하는 방식
- 그룹 분류식 코드(Group Classification Code) : 코드화 대상 항목을 일정 기준에 따라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등으로 구분하고, 각 그룹 안에서 일련번호를 부여하는 방법
- 10진 코드(Decimal Code) : 코드화 대상 항목을 0~9까지 10진 분할하고, 다시 그 각각에 대하여 10진 분할하는 방법을 필요한 만큼 반복하는 코드로, 도서 정리를 목적으로 널리 사용함(도서 분류식 코드)
- 표의 숫자 코드(Significant Digit Code) : 코드화 대상 항목의 성질, 즉 길이, 넓이, 부피, 지름, 높이 등의 물리적 수치를 그대로 코드에 적용시키는 방법(유효 숫자 코드)
- 연상 코드(Mnemonic Code) : 코드화 대상 항목의 명칭이나 약호와 관계 있는 숫자나 문자, 기호를 이용하여 코드를 부여하는 방법(기호 코드)
#100_코드의 오류 발생 형태
- 필사 오류(Transcription Error) : 입력시 임의의한 자리를 잘못 기록한 경우 발생(오자 오류)
- 전위 오류(Transposition Error) : 입력시 좌우 자리를 바꾸어 기록한 경우 발생
- 이중 오류(Double Transposition Error) : 전위 오류가 2개 이상 발생한 경우
- 생략 오류(Omission Error) : 입력시 한 자리를 빼놓고 기록한 경우 발생
- 추가 오류(Addition Error) : 입력시 한 자리를 더 추가하여 기록한 경우 발생
- 임의 오류(Random Error) : 위의 오류가 두 가지 이상 결합하여 발생한 경우
#101_입력 설계
- 입력 설계 순서 : 입력 정보의 발생 -> 입력 정보의 수집 -> 입력 정보의 매체화 - > 입력 정보의 투입 -> 입력 정보의 내용
- 입력 매체 장치 선택시 검토 사항 : 시스템의 이행 방법 및 운용 비용, 입력 정보 발생 분야에서의 업무 특성, 입력 매체와 매체화 장비의 특성, 출력 정보를 이용할 시점에 맞게 투입
- 데이터 입력 방식
ㆍ집중 매체화 시스템 : 발생한 데이터를 전표 상에 기록하고, 일정 시간 단위로 일괄 수집하여 입력 매체에 수록하는 방식
ㆍ분산 매체화 시스템 : 데이터를 발생한 장소에서 매체화하여 처리하는 방식
ㆍ턴 어라운드 시스템 : 입력된 자료가 처리되어 일단 출력된 후 이용자를 경유하여 다시 재입력되는 방식으로, 공과금, 보험료 징수 등의 지로 용지를 처리하는 데 사용됨
#102_원시 전표 설계시 '기입의 측면'에서 고려할 사항
- 빠르고, 정확하고 쉽게 기입할 수 있어야 함
- 기입 항목은 가능한 적게 하고, 간단하게 적을 수 있어야 함
- 전표 번호나 발생 주문과 같은 고정 항목은 미리 인쇄하거나 선택할 수 있게 함
- 일정한 순서대로 기입할 수 있어야 함
- 혼란을 초래할 우려가 있는 것은 기입 요령을 명시함
#103_출력 설계
- 출력 설계 순서 : 출력 정보의 내용 -> 출력 정보의 매체화 -> 출력 정보의 분배 -> 출력 정보의 이용
출력 정보 내용에 대한 설계 | 출력할 항목과 명칭, 출력항목의 배열 순서, 크기 자릿수, 출력 항목의 문자 표현 방법, 출력 항목에 대한 집계 방법, 출력 정보의 오류 검사 방법을 결정 |
출력 정보 매체화에 대한 설계 | 출력 형식, 출력 매체 및 장치, 출력 정보의 양과 출력 복사의 매수, 출력 장소와 출력 시기 및 주기. 출력 배열 순서를 결정 |
출력 정보 분배에 대한 설계 | 분배 책임자, 분배 방법 및 형태, 분배 경로, 분배 주기 및 시기에 대해 결정 |
출력 정보 이용에 대한 설계 | 출력 정보명과 출력 정보의 사용 목적, 출력 정보의 이용자와 이용 경로를 결정 |
#104_물리 레코드의 형식
- 비블록화 고정 길이 레코드 : 하나의 논리 레코드를 그대로 전송하는 방식으로, 레코드의 수만큼 입/출력이 발생하므로 시간 낭비가 많고, 경제성이 좋지 않음
- 블록화 고정 길이 레코드 : 길이가 동일한 여러 개의 논리 레코드를 묶어 하나의 블록으로 구성한 형태로, 프로그램 작성이 쉽고, 속도가 빠르며 경제성이 좋음
- 비블록화 가변 길이 레코드 : 길이가 다른 하나의 논리 레코드를 그대로 전송하는 방식으로, 레코드의 길이 정보를 반드시 표시해야 하며, 프로그램 작성이 어렵고, 시간이 낭비되며 경제성이 좋지 않음
- 블록화 가변 길이 레코드 : 길이가 서로 다른 여러개의 논리 레코드를 묶어 하나의 블록으로 구성한 형태로, 각각의 레코드와 블록의 길이 정보를 반드시 표시해야 하며, 프로그램 작성이 어렵지만 처리 속도가 빠르고 경제성이 좋음
#105_데이터 파일의 종류
- 마스터 파일(Master File) : 전표 처리에서의 원장 또는 대장에 해당하는 파일로, 자료 관리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며 기본이 되는 파일임. 트랜잭션 파일에 의해 갱신됨
- 트랜잭션 파일(Transaction File) : 거래 내역이나 변동 내용 등 일시적인 성격을 지닌 정보를 기록하는 파일로, 마스터 파일을 갱신하거나 조회할 때 사용
- 요약 파일(Summary File) : 다른 파일의 중요 내용이나 합계를 요약해놓은 파일로, 집계용으로 많이 사용됨
- 히스토리 파일(History File) : 후일 통계 처리에 사용할 자료나 사고 발생 시 마스터 파일 등을 원상 복구시키기 위한 자료를 보존한 파일
'자격증 > 정보처리산업기사 - 개정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처리산업기사 필기_3과목, 시스템 분석 및 설계(#117~#127) (0) | 2020.04.18 |
---|---|
정보처리산업기사 필기_3과목, 시스템 분석 및 설계(#106~#116) (0) | 2020.04.17 |
정보처리산업기사 필기_2과목, 전자계산기 구조(#90~#94) (2) | 2020.04.17 |
정보처리산업기사 필기_2과목, 전자계산기 구조(#79~#89) (2) | 2020.04.17 |
정보처리산업기사 필기_2과목, 전자계산기 구조(#68~#78) (2) | 2020.04.16 |